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2023

(2023.10.21)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반응형

 

1. 11월 입주 4만여 가구…가을 이사철 물량 풍부(아주경제)

 

​11월 입주 4만여 가구…가을 이사철 물량 풍부 | 아주경제

10월에 이어 11월에도 연속 4만여 가구 공급이 이어지면서 가을 이사철 물량이 풍성해질 전망이다.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에는 전국 56개 단지 3만9260가구(임대 포함 총 가구수)의 아파트가

www.ajunews.com

10월에 이어 11월에도 연속 4만여 가구 공급이 이어지면서 가을 이사철 물량이 풍성해질 전망이다.

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에는 전국 56개 단지 3만9260가구(임대 포함 총 가구수)의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다. 권역별로 수도권에서 1만9651가구, 지방은 1만9609가구가 집들이에 나설 계획이다.



11월 입주를 앞둔 3만9260가구 중 2만2691가구(57.8%)는 재건축 재개발을 통한 정비사업 아파트다. 올해 월간 최다 수준인데 과반 이상인 1만5000가구가 수도권에서 공급될 예정이다.

11월 시도별 아파트 입주물량은 △경기(7439가구) △서울(7197가구) △부산(5265가구) △인천(5015가구) △경북(3098가구) 순으로 지역별 편차가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경기는 안양(2886가구) 양주(1624가구) 화성(1350가구)에서 인천은 미추홀구(2277가구) 부평구(1623가구) 남동구(1115가구) 등의 물량이 많다.

지방에서 입주예정인 10가구 중 7가구(1만9609가구 중 1만4840가구)는 전용 60㎡초과 중형 이상 물량이다. 이 가운데 전용 85㎡초과 대형은 3123가구로 2019년 12월(3568가구) 이후 가장 많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특히 대단지가 입주하는 지역에서는 입주예정자들의 기존 주택 및 분양대금을 치르기 위한 전세 매물이 늘면서 전셋값이 하향 조정될 수 있다"며 "갈아타기 하려는 임차수요에게 좋은 기회겠지만 서울 등 지역에서는 수요 회복으로 전셋값이 상승하는 등 지역별로 분위기 차가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2. 대한민국 경제 동력 더 식었다…OECD "내년 잠재성장률 1.7%…미국보다 낮아"(경향신문)

 

대한민국 경제 동력 더 식었다…OECD “내년 잠재성장률 1.7%…미국보다 낮아”

올해는 1.9%…12년간 계속 하락2% 밑도는 성장률 전망은 처음미국은 내년 1.9%…한국 앞질러 IMF...

www.khan.co.kr

올해는 1.9%…12년간 계속 하락
2% 밑도는 성장률 전망은 처음
미국은 내년 1.9%…한국 앞질러
IMF 2.2%·한은 ‘2% 내외’ 이견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이 올해 처음으로 2%를 밑돌고 내년에는 1.7%까지 추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저출생·고령화 등 구조적 요인으로 노동·자본 등 생산요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가동해도 경제 성장률이 1%대 중후반 수준을 넘기 어렵다는 뜻이다. 내년에는 미국보다도 잠재성장률이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23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최근 20년 한국 포함 주요국 연도별 국내총생산(GDP)갭 현황’ 자료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6월 우리나라의 올해와 내년 잠재성장률을 각 1.9%, 1.7%로 추정했다.



한 나라의 노동·자본·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모두 동원하면서도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이 잠재GDP고, 이 잠재GDP의 증가율이 ‘잠재성장률’이다.

OECD 보고서에서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13년(3.5%) 이후 2024년까지 12년간 계속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올해 처음 2%를 밑돈 뒤 내년에는 1%대 중후반까지 내려앉을 전망이다.

주요 7개국(G7)의 올해 잠재성장률은 미국(1.8%), 캐나다(1.6%), 영국(1.2%), 프랑스(1.1%), 독일(0.8%), 이탈리아(0.8%), 일본(0.3%) 순이었다. 내년의 경우 미국(1.9%)이 0.1%포인트 높아지고, 일본(0.2%)은 0.1%포인트 떨어진다. 다른 나라의 잠재성장률은 변화가 없다. 이렇게 되면 2024년 한국 잠재성장률(1.7%)은 미국(1.9%)보다도 낮아진다. OECD의 2001년 이후 24년간 추정치 통계에서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G7 국가를 밑돈 경우는 처음이다.

특히 2020년과 비교해 최근 수년간 미국과 캐나다(1.1→1.6%), 이탈리아(0.3→0.8%), 영국(-1.3→1.2%)은 오히려 잠재성장률이 오르고 있다. 이 같은 추세라면 한국은 미국뿐 아니라 조만간 다른 G7 국가들에도 역전을 허용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국제통화기금(IMF)의 지난 4월 보고서에서는 우리나라의 올해와 내년 잠재성장률이 모두 2%를 웃도는 2.2%로 추정됐다. 한은은 조사국이 운영하는 4개 모형을 통한 자체 잠재성장률 추정 범위를 2021∼2022년 기준으로 ‘2% 내외’로 봤다.

 

3. 주머니 사정 나빠지고 먹거리 물가는 고공행진…살림살이 '팍팍'(세계일보)

 

주머니 사정 나빠지고 먹거리 물가는 고공행진… 살림살이 ‘팍팍’

올해 2분기 가구 소득은 2.8% 줄어든 반면 먹거리·통신 등 생활 물가는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 등으로 지속적 물가 상승이 전

www.segye.com

2분기 소득 2.8% 줄었는데 먹거리 물가는 7%대 상승
가구 가처분소득 383만1000원
가공식품 7.6%↑ 외식물가 7%↑


올해 2분기 가구 소득은 2.8% 줄어든 반면 먹거리·통신 등 생활 물가는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 등으로 지속적 물가 상승이 전망돼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체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383만1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8% 줄었다. 처분가능소득이란 전체 소득에서 이자와 세금 등을 뺀 것으로 소비나 저축에 쓸 수 있는 돈으로 볼 수 있다.

처분가능소득 감소는 고금리로 인한 여윳돈 감소, 지난해 소상공인에게 지급한 손실 보전금 등의 기저효과가 일부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가계의 주머니 사정은 나빠졌지만, 먹거리 물가는 7%대 상승세를 보였다. 소비자물가지수에서 대표적 먹거리 지표인 가공식품·외식의 2분기 물가 상승률은 각각 7.6%, 7.0%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2%)의 두 배를 웃돌았다.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70개의 물가상승률이 ‘플러스’로 이 가운데 잼이 33.7%로 가장 높았다. 라면(12.9%), 커피(11.5%) 등도 10%대를 웃돌았다. 외식의 경우 세부 품목 39개 모두 물가가 올랐다. 햄버거 물가가 12.3% 올라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피자(11.9%), 김밥(9.6%)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5% 선을 넘긴 가운데 고금리가 장기화하면 앞으로 살림살이는 더 빠듯해질 수 있다. 게다가 이·하마스 전쟁으로 국제유가가 오르면 원료·물류비 부담 가중으로 먹거리 가격 인상 압박이 커질 수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올해 3분기 누적(1∼9월) 통신 물가까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오르며 33년 만에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최근 통신 물가 상승세는 휴대전화료와 휴대전화기가 견인 중이다. 휴대전화기는 신제품 출시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1∼9월 3.5%나 올랐으며, 같은 기간 휴대전화 통신 요금도 0.2% 오르며 전년(0.4%)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4. 미수금·반대매매 연일 최고치…3일간 1조4천억 강제 청산(연합뉴스)

 

미수금·반대매매 연일 최고치…3일간 1조4천억 강제 청산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송은경 기자 = 주식시장 미수금 잔고와 반대매매 금액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www.yna.co.kr

주식시장 미수금 잔고와 반대매매 금액이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2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직전 거래일인 지난 20일 미수금 잔고는 1조259억원, 반대매매 금액은 5천497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모두 금투협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로 가장 큰 규모다.

평소 5천억원대에 머물던 미수금 잔고는 지난 18일에 갑자기 7천623억원으로 불어나더니 이튿날인 19일에는 1조14억원으로 사상 처음 1조원선을 넘어섰다.

일평균 530억원 안팎이었던 반대매매 규모도 이달 18일 2천768억원으로 급증한 뒤 19일에는 5천257억원을 기록했다.

18일부터 20일까지 3거래일간 증권사가 강제 청산한 주식은 총 1조3천522억원어치에 달한다.

증권사는 반대매매를 할 때 청산 물량을 하한가로 매도하기 때문에 해당 액수만큼의 주식이 시장에 한꺼번에 쏟아지며 지수 전체에 하방 압력을 가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구체적으로 어느 종목, 어느 증권사에서 반대매매가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매일 증권사에서 관련 데이터를 취합해 공시하는 금투협 측은 "전체 금액 외의 내용은 공시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일단 지난 18일 하한가로 급락한 영풍제지 사태가 미수금 잔고 급증에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키움증권은 지난 20일까지 영풍제지 종목에서 발생한 미수금 규모가 4천943억원이라고 공시했다.

 

5. 코스피, 美 금리 급등 압박에 '털썩'…2350선 마감(프라임경제)

 

코스피, 美 금리 급등 압박에 '털썩'…2350선 마감

[프라임경제] 코스피가 미국의 금리 급등 압박에 따른 경계심 확대로 하락했다.23일 코스피 지수는 전장 2375.00대비 17.98p(-0.76%) 하락한 2357.02를 기록했다. 투자자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652억

www.newsprime.co.kr

코스피가 미국의 금리 급등 압박에 따른 경계심 확대로 하락했다.

23일 코스피 지수는 전장 2375.00대비 17.98p(-0.76%) 하락한 2357.02를 기록했다. 투자자별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652억원, 705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2584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준 종목별로는 현대차(1.04%), LG화학(0.42%), 기아(1.59%)가 상승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포스코홀딩스는 보합세에 머물렀다. 이외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이 가운데 SK하이닉스는 전장 대비 2200원(-1.74%) 하락한 12만4000원으로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시총 1위 삼성전자는 전장 대비 400원(-0.58%) 내린 6만8400원에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 769.25대비 5.56p(-0.72%) 내린 763.69에 장을 마쳤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58억원, 166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854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기준 종목별로는 에코프로비엠(-1.07%), 에코프로(-2.8%), 셀트리온헬스케어(-1.42%), 포스코DX(-3.98%)가 하락했다. 이외 모든 종목이 상승했다.

특히 엘앤에프는 전장 대비 4600원(3.09%) 상승한 15만3300원으로 두드러진 상승폭을 보였다. 이어 JYP엔터가 전장 대비 1400원(1.39%) 오른 10만2300원으로 뒤를 이었다.

국내증시 등락률 상위 5개 업종은 우주항공과 국방(4.12%), 화장품(2.3%), 창업투자(1.81%), 전문소매(1.62%), 다각화된 소비자서비스(1.33%)가 오름세로 마감했다.

등락률 하위 5개 업종은 증권(-5.1%), 에너지 장비 및 서비스(-4.79%), 전기장비(-3.05%), 생명보험(-2.79%), 기타금융(-2.61%)이 내림세로 장을 마쳤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급등 압박과 빅테크 등 주요 기업 실적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이 확대됐다"며 "증시 미수금 증가에 따른 수급 불안도 악재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1.3원(0.09%) 오른 1353.7원에 마감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