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실 고시원이면 고시원이지 '방의 유형'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임장을 다니면서 고시원 방마다 '유형'이 있다는 것을 알았고, 그 '유형'에 따라서 방값도 달라지고 그것이 고시원을 인수할 때 권리금에도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향후 고시원을 인수할 때 고시원의 용도, 바닥면적, 소방법 등도 당연히 챙겨야겠지만 고객층이 누구냐를 타겟팅하고 예상 수익률을 분석할 때 '방의 유형'이 생각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은 만큼 고시원의 방 유형에 대하여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일단 방의 유형은 크게 방 안에 '샤워실, 화장실'의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미니룸
방 안에 샤워실과 화장실이 모두 없는 방을 의미합니다. 침대, 옷장, 냉장고, 책상, TV 등 최소한의 도구들만 갖추어져 있는 곳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샤워실과 화장실이 없기 때문에 공용 시설을 이용해야 합니다. 물론 그만큼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무래도 샤워를 할 때나 용변을 볼 때 불편하겠죠. 특히나 새벽에 화장실이 가고 싶을 때, 더운 여름에 샤워를 자주 해야 할 때는 더욱 더...
2. 샤워룸형
방 안에 샤워실만 갖추어 놓은 방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보통은 방 안에 간이 일체형 샤워박스(조립식 샤워부스)를 설치한 케이스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아무래도 샤워실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에 미니룸보다는 비싸겠죠? 그렇다면 세면, 샤워는 방에서 할 수 있지만 용변은 이렇게 고시원 공용화장실을 이용해야 할 겁니다.

3. 원룸형
방 안에 샤워실과 화장실이 모두 있는 구조입니다. 실제 원룸보다야 많이 좁기는 하지만 그래도 있을 건 다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당연히 샤워와 용변 모두 방 안에서 해결할 수 있겠지요.

4. 혼합형
한 고시원 안에 미니룸형, 샤워룸형, 원룸형 방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를 의미합니다. 물론 '올 미니룸형' 고시원도 있고, '올 원룸형' 고시원도 있습니다. 하지만 임장을 다녔던 대부분의 고시원들이 '전체 방 수는 00개인데 미니룸형 00개, 샤워룸형 00개, 원룸형 00개' 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보통은 미니룸과 원룸이 많습니다.)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룸 유형에 따라, 그리고 후술할 창문 방향(외창형, 내창형)에 따라 방 가격이 각각 달라집니다.
샤워실과 화장실 유무에 따라 방 유형을 나누었다면
이번에는 '창문'이 어떻게 나 있냐에 따라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5. 외창형
바깥쪽으로 창문이 나 있어 햇빛을 볼 수 있고 바람이 들어오는 방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겠죠. '창문이 당연히 문 바깥으로 나지 그럼 안쪽으로 나는 경우도 있나?'라고요...하지만 고시원의 경우 창문이 바깥으로 나 있어 햇빛이 들어오고 바람이 들어오는 방이 좋은 방입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됩니다.

6. 내창형
창문이 안쪽(복도 쪽)으로 나 있는 방입니다. 창문이 복도 쪽으로 난다는 게 상상이 안 되실 수도 있을 겁니다. 당연하겠지만 햇빛이 들어오지 않고 실내로 통해있기 때문에 환기도 잘 안 되고 냄새도 잘 안 빠집니다. 아울러 복도쪽에 창문이 나 있다면 자칫 사생활적인 측면에서도 신경이 쓰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됩니다.

중간에 있는 방의 경우 복도와 복도 사이에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창문이 복도 쪽에 뚫릴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당연히 햇빛을 볼 수도 없을 것이고, 환기 또한 잘 되지 않을 겁니다. 그만큼 불편하고 선호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겠죠. 실제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7. 먹방형
창문이 없는 방을 '먹방'이라고 합니다. 보통 옛날 고시원에 이런 방들(창문이 없는 방)이 많죠. 사실 요즘 고시원은 이런 방이 거의 없습니다만, 아직도 오래된 고시원들의 경우 이런 방들이 꽤 많다고 합니다. 서울시 고시원 실태조사 결과 창문이 없는 '먹방'이 74%에 달한다고 합니다.(자료출처 링크 참조) 물론 가격은 저렴하겠지만...가슴이 아픕니다.
나름 장황하게 방 유형에 대하여 설명드렸는데, '이게 무슨 의미가 있나?'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고시원 입주를 고려하고 계시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때 당연히 '원룸', '외창형' 방을 선호할 것이고 아무래도 그렇다 보면 방값이 더 비싸겠죠?
지역에 따라 방값 시세가 정해져 있기는 하지만 보통 물어보면
1. 샤워룸은 미니룸보다 약 5만원 정도 비싸고, 원룸은 미니룸보다 약 10~15만원 정도 비싸다
2. 그리고 외창형은 내창형보다 약 5만원 정도 비싸다.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아무래도 '단기간 묵을 예정이거나 자금 형편이 여유롭지 않은 분들'께서 미니룸을 선호하실 것이고, '장기간 묵을 예정이거나 그래도 괜찮은 방을 원하시는 분들'께서는 원룸을 선호할 것입니다.(보통 프리미엄 고시원 어쩌구 하는 고시원들은 거의 올 원룸형으로 구성되어 있더라구요.) 때문에 향후 수익률이나 관리 측면에서도 '미니룸'보다는 '원룸형' 고시원을 선호할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내가 인수할 고시원의 주요 고객층이 누구인지, 소득수준이 어떻게 되는지 등을 고려하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그에 맞는 고객층을 유치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기타 > 고시원 기초와 실무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원 관련 법규 -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의 제한 (1) | 2021.05.16 |
---|---|
고시원 관련 법규 - 고시원(다중생활시설) 건축기준 (0) | 2021.05.15 |
고시원 창업 방법(신축, 인수) (0) | 2021.05.14 |
건축물대장을 통한 고시원의 용도 확인하기(4) - 고시원 설립일자에 따른 바닥면적과 용도 정리 (0) | 2021.05.09 |
건축물대장을 통한 고시원의 용도 확인하기(3) - 왜 바닥면적이 500㎡가 넘지? (0) | 2021.05.09 |
건축물대장을 통한 고시원의 용도 확인하기(2) - 한 건물 전체를 고시원으로 쓸 경우 용도는? (0) | 2021.05.06 |
건축물대장을 통한 고시원의 용도 확인하기(1) - 2009년 이전에 설립된 고시원의 용도는? + 위반건축물 사례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