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2022

(2022.10.3)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반응형

 

1. 한강변 단지는 그래도 오른다…반포주공1단지 73억원 매매(아시아경제)

 

한강변 단지는 그래도 오른다…반포주공1단지 73억원 매매

금리 인상, 대출 규제와 무관하게 ‘현금 부자’만 살 수 있는 한강변 고가주택은 계속해서 신고가를 찍고 있다. 지난달에만 두 건이 팔린 반포주공1단지는 모두 70억원 이상에 팔렸다. 3일 국토

www.asiae.co.kr

9월 반포주공1단지, 70억원대 매매 2건
가격 하락세에도 한강변 단지 상승 예상
재건축 단지라는 특징도 크게 작용한 듯
자치구 불문 한강 변 단지는 신고가 여전


금리 인상, 대출 규제와 무관하게 ‘현금 부자’만 살 수 있는 한강변 고가주택은 계속해서 신고가를 찍고 있다. 지난달에만 두 건이 팔린 반포주공1단지는 모두 70억원 이상에 팔렸다.

3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6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주공1단지(140.13㎡)가 73억원에 매매됐다. 같은 달 3일에도 71억5000만원에 팔리며 신고가를 찍었는데 여기서 또 1억5000만원 오른 값이다. 직전 신고가는 5월 거래된 69억원이었다.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과 무관한 ‘현금 부자’들은 하락세임에도 한강변 단지의 상승 가능성을 보고 신고가 매수를 이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투기과열지구인 서울은 15억원 초과 아파트에는 LTV(주택담보인정비율)가 적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70억원이 넘는 이 단지를 매수하기 위해선 많은 현금이 필요하다.

게다가 ‘반포주공1단지’는 재건축 단지라는 특징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973년 지어진 이 단지는 현재 이주를 완료하고 철거를 앞두고 있다. 2017년 사업시행인가 이후 3년 이상 착공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3년 이상 소유자 매물은 착공 전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가 가능하다. 이번 정부의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합리화 방안으로 조합이 져야 할 부담까지 덜면서 가격이 더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

굳건히 상승세를 지키던 서초구 역시 8월 들어 매매가격지수가 떨어졌지만 이처럼 한강변 주변 아파트는 여전히 굳건한 모습이다. 이달 매매된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205.07㎡)’ 역시 38억원에 매매돼 직전 거래인 지난해 10월 35억원 대비 3억원 오른 값에 실거래됐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매매가격지수는 8월 셋째 주(106.2) 처음으로 전주 대비 하락(-0.01%)하더니 7주 연속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주 매매가격지수는 105.9로 한 달 전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다른 자치구에서도 한강변 고가 단지의 위세는 여전하다. 강남구 청담동 청담자이(89.115㎡)는 직전 거래(지난해 10월)보다 3억4000만원 오른 36억5000만원에 지난달 팔리며 신고가 찍었다. 직전 신고가는 지난해 2월 35억원보다도 1억5000만원 올랐다. 2년 만에 처음 거래된 성동구 성수동1가 '강변동양(84.56㎡)' 역시 지난달 25억원에 팔리면서 신고가를 찍었다. 직전 거래(2020년 5월·18억원)보다 7억원 높은 가격이다. 청담동 인근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이 주변은 매물이 많이 나오지 않는 데다 급하게 매도에 나서는 분들이 없어 이전보다는 조금씩 높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한강변 고가단지 신고가 찍는 건 결국 희소성에서 나오는 차별성이라고 봐야 한다"며 "'반포주공'이나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재건축 중에서도 좋은 단지고 '청담자이'의 경우 신축 중에서 대체 불가능한 지역이다 보니 희소성이라는 가치가 가격에 반영된 것"이라고 했다.

 

2. "집값 앞자리가 바뀌었다"…수도권 8억 붕괴 '초읽기', 지방광역시 4억→3억(매일경제)

 

"집값 앞자리가 바뀌었다"…수도권 8억 붕괴 `초읽기`, 지방광역시 4억→3억

전국 아파트 중위 매매가 1년3개월 만에 5억원 밑돌아 전국 주택 매매량 작년 동기比 47.4%↓ 규제지역 해제에도 매수심리 더 떨어져

www.mk.co.kr

전국 아파트 중위 매매가 1년3개월 만에 5억원 밑돌아
전국 주택 매매량 작년 동기比 47.4%↓
규제지역 해제에도 매수심리 더 떨어져


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 충격파 전국의 주택 매매시장을 뒤덮은 가운데 평균·중위 아파트 가격의 앞자리도 속속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국민은행의 월간 시계열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방 5개 광역시(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이달 3억9928만원으로, 지난달(4억104만원)보다 176만원 떨어졌다. 지방 광역시의 평균 아파트값이 4억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올해 1월(3억9974만원) 이후 8개월 만이다.

수도권의 평균 아파트값은 지난 6월(8억1055만원) 이후 3개월째 하락세를 타며 이달 8억175만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추세라면 다음 달 8억원 선이 허물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작년 하반기부터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금리 인상이 본격화되면서 아파트값 상승폭이 꺾이고 하락세가 가속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전국 아파트 가격은 지난달 말 사상 최대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23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보면, 9월 셋째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19% 하락했다. 이는 한국부동산원이 주간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2년 5월 이래 최대 낙폭이다.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 가격도 상황은 비슷하다. 서울의 경우 전주보다 0.17% 내렸는데 2012년 12월 둘째주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수도권 역시 전주 대비 0.23% 떨어지며 2012년 8월 첫째주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서울에서는 최상위 시장으로 평가받는 용산, 서초, 강남 등도 낙폭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아울러 지난달 전국 아파트 중위 매매가(아파트값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있는 가격)도 4억8818만원으로, 5억원선이 무너졌다. 전국 아파트 중위 매매 가격이 5억원을 밑도는 것은 작년 6월(4억9300만원)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문제는 역대급 거래 절벽이 지속되는 동안 아파트값 하락도 이어질 것이란 점이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8월 주택통계를 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38만5391건으로, 작년 동기(73만7317건)보다 47.4% 급감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5만4448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대비 57.3% 감소했다. 지방은 23만943건으로 38.5% 줄어 수도권의 감소폭이 더 컸다. 서울은 4만3818건으로 지난해 1~8월 53.8% 감소했다.

8월 한달 거래만 보면 전국 주택 매매량은 3만5531건으로, 지난해 8월(8만9057건)과 비교해 60.1% 감소했다. 수도권(1만3883건)은 전년 동월 대비 66.7% 감소, 지방(2만1648건)은 전월 동월대비 54.3% 줄었다.

최근 지방 규제지역 해제에도 아파트 매수심리는 더 떨어졌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4.8(한국부동산원)로, 지난주보다 하락해 2019년 10월 둘째 주 조사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낮았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보다 낮을수록 시장에 집을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가 지난 21일 세종을 제외한 지방 전체를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하는 등 규제지역을 대폭 풀었지만, 매수심리는 오히려 더 위축된 모습이다.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기간에 팔려는 급매물은 늘고 있다. 하지만, 추가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집값 하락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매수자들은 일제히 관망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8.5를 기록하며 지난 5월 첫 주 조사 이후 21주 연속 하락했다. 이는 2019년 6월 셋째 주 조사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3. 광명시, 안전진단비용 지원 조건 완화(한국경제)

 

광명시, 안전진단비용 지원 조건 완화

광명시, 안전진단비용 지원 조건 완화, 준공 후 35년→30년 확대 "철산우성·하안주공 등 수혜"

www.hankyung.com

준공 후 35년→30년 확대
"철산우성·하안주공 등 수혜"


서울·경기 일부에서 재건축 필수 관문인 ‘안전진단’에 필요한 비용을 주민의 모금이 아닌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이미 지원 중인 일부 지자체는 지원 범위를 더 확대하는 분위기다.

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경기 광명시는 최근 철산·하안동 주거 단지 재건축 지원을 위해 정밀안전진단비용 지원 범위를 준공 후 35년 단지에서 건축 연한 30년 단지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안전진단 비용은 재건축 추진 단지 주민들이 십시일반 자금을 모아야 해 시간이 오래 걸려 주민들의 불만이 컸다. 더구나 안전진단에서 탈락한 뒤 재도전하는 경우 비용이 두 배로 늘어나 초기 사업의 걸림돌이 돼왔다. 기초 지자체 지원이 확대되면 이런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광명시 내 재건축 붐이 활발한 지역은 철산동과 하안동이다. 준공 30~35년 사이인 하안주공 1~12단지가 시의 지원 대상 범위 확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철산KBS우성 등 철산·하안동 13개 단지는 예비안전진단이 통과돼 재건축 판정을 위한 정밀안전진단을 준비하고 있다. 안성환 광명시의원은 “예비안전진단 통과 순서에 따라 예산 범위 내에서 시가 순차적으로 정밀안전진단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전진단 비용 지원 근거가 조례에 명시된 경기도와 달리 서울시에서는 근거 조례가 마련돼 있지 않다. 서울시의회는 재건축 지원 근거 조례를 제정하는 안건이 4건 발의돼 있다. 현행 서울시 조례는 ‘안전진단 요청자가 비용 전부를 부담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중 향후 10년 내 안전진단 대상이 되는 아파트는 1062개 단지(73만1656가구)에 달한다. 추산 비용은 약 1486억원으로, 연간으로 환산하면 148억6800만원이다.
 

재건축 안전진단(Feat. 안전진단 개념, 실시요건, 진행절차, 평가항목)

제20대 대통령선거 유력후보들의 주요 공약 중 하나가 '안전진단'이었습니다. 윤석열 現 대통령은 후보시절 당시 '준공 30년 이상 안전진단 면제'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이재명 후보 역시도 구조

betherich.tistory.com

 

4. 연저점 또 경신되나…"개별 종목 모멘텀 주목"(브릿지경제)

 

[주간증시전망] 연저점 또 경신되나…``개별 종목 모멘텀 주목``

지난 주(9월26~30일) 코스피는 연저점을 재차 경신하며 거래를 마쳤다. 3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주 코스피는 전 주 대비 134.51포인트(5.87%)..

www.viva100.com

지난 주(9월26~30일) 코스피는 연저점을 재차 경신하며 거래를 마쳤다. 3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주 코스피는 전 주 대비 134.51포인트(5.87%) 내린 2155.49에 장을 마감했다.

26일 3% 넘게 폭락하며 연저점을 경신한 코스피는 다음날인 27일 장 막판 낙폭을 축소해 소폭 상승세로 마감했다. 하지만 28일 다시 급락, 2200선 아래로 내려가며 연저점을 새로 썼다. 29일에는 소폭 반등해 강보합 마감했으나 30일에는 지수가 장중 2134.77까지 밀리며 28일 기록한 장중 연저점(2151.60)을 다시 썼다.

미국 내 기준금리 인상과 불안한 국제정세로 인해 유독 달러만 강세인 달러 스마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달러화의 독주는 미국 외 경제에 타격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면서 “생산자물가 상승에 환율 효과로 인한 수입물가 상승이 더해지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NH투자증권은 이번 주 코스피 예상밴드로 2070~2220을 제시하고 개별 종목 모멘텀에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김영환 연구원은 “경기침체 우려와 달리 달러 강세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볼안의 이중고 상황으로 단기적으로 반등 모멘텀을 찾기 어렵지만 단기에 주가가 급락하면서 밸류에이션 메리트는 높아졌다”며 “코스피 2050선을 지지선으로 판단하며 패닉셀링에 따른 언더슈팅으로 주가지수가 이를 하회한다면 낙폭과대 접근을 해볼만한다”고 판단했다.

그는 “개별주식에 대한 대응은 작은 테마에 관심을 가지고 개별 종목 모멘텀에 주목할 것을 권고한다”면서 “수출주 중에서는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판매 대금을 달러로 받는 분야 중에서도 재고 압력이 적은 자동차와 미국 음악 시장으로 팬덤을 확대하는 성공한 K엔터 등에 관심을 가질 것”을 조언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주가는 많이 빠졌지만 여전히 V자 반등은 어렵다고 본다”면서 “이번 3분기 실적 시즌부터 경기 침체 우려에 따른 기업들의 향후 이익 추정치 하향이 본격화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당분간 업종보다 기업 중심의 개별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서정훈 연구원은 “IRA 수혜업종인 2차전지·태양광, 호실적 대비 밸류 매력이 높은 자동차, 변동성 장세에서 상대 이익 안정성이 높은 금융·유통 업종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유지할 것”을 조언했다.

키움증권은 이번 주 코스피 예상 밴드를 2100~2250로 제시하고 미국의 9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 및 비농업부문 고용, 연준 인사들의 발언, 한국의 9월 수출, 개인의 신용 반대매매 물량 등 대내외 이벤트 및 수급에 영향을 받으면서 지지력 테스트 국면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줄줄이 예정됐음에도 이미 인플레이션 파이터로 강하게 돌아선 이들에게서 반전의 계기가 나오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결국 13일 예정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다시 한 번 금융시장의분기점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이번주에도 시장은 변동성을 감내해야 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한지영 연구원은 그러면서도 “7일에 발표 예정된 미국의 9월 비농업부문 신규고용 등 고용지표에서 예상보다 부진한 수치를 기록한다면 주가 급락분을 일부 만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코스피 상장사들의 실적과 관련이 깊은 한국 9월 수출, 미국의 9월 ISM 제조업 PMI 결과도 변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전제조건과 달리 실제 수치들이 다르게 나올 경우 증시의 변동성은 확대되면서 연저점 테스트 국면에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그럼에도 주가 밸류에이션 상으로는 악재를 상당 부분 반영했으며 최근 국내 증시 하락을 추가 유발했던 개인의 신용반대매매 물량에 부담도 덜어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번주 주요 이벤트로는 한국 개천절 휴장(3일), 중국 국경절 휴장(3~7일), 미국 ISM 제조업지수(3일), 한국 9월 소비자물가(5일), 미국 9월 ADP 고용(5일), 미국 9월 ISM 비제조업(5일), 유로존 8월 소매판매(6일), 미국 9월 고용보고서(7일) 등이다.

 

5. "컴공과 졸업장 있으면 고연봉 보장"..1년 만에 벌어진 일(한국경제)

 

"컴공과 졸업장 있으면 고연봉 보장"…1년 만에 벌어진 일

"컴공과 졸업장 있으면 고연봉 보장"…1년 만에 벌어진 일, '개발자'면 묻지마 高연봉…IT기업들 '인건비 부메랑' 실력 안 따지고 무조건 인상 연봉 2억에 경력 데려오기도 네·카, 인건비 늘어 실

www.hankyung.com

'개발자'면 묻지마 高연봉..IT기업들 '인건비 부메랑'
실력 안 따지고 무조건 인상
연봉 2억에 경력 데려오기도
네·카, 인건비 늘어 실적 '뚝'



지난해 1분기는 정보기술(IT) 업계에서 개발자 영입 경쟁이 극에 달한 때였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업들이 디지털 전환 투자를 늘리면서 IT 업체들이 호황기를 맞았기 때문이다. 컴퓨터공학과 졸업장과 개발자 경력만 있으면 고액 연봉이 보장됐다. ‘코딩 좀 한다’는 개발자를 데려오려면 연봉 2억원은 줘야 한다는 얘기까지 돌았다.

약 1년 반이 지난 지금, 인건비 인상 경쟁은 IT 기업들에 ‘부메랑’이 됐다. 네이버, 카카오 등 주요 IT 기업이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주요 원인으로 ‘급증한 인건비’가 꼽혔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의 2분기 인건비는 4967억원이다. 지난해 2분기(3881억원)보다 11.7%, 직전 분기인 1분기(4002억원)보다 8.4% 증가한 수치다. 전체 영업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3%에 달한다. 카카오의 인건비 증가세는 더 가파르다. 2분기 인건비는 4262억원으로 전년 동기(3010억원) 대비 41.6% 급증했다. 카카오의 영업비용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5.8%로 1년 전(25.3%)보다 소폭 늘었다. 게임업체도 상황이 비슷하다. 엔씨소프트의 올 2분기 인건비는 2066억원으로 전체 영업비용(5063억원)의 40.8%를 차지했다. 카카오게임즈는 1분기 인건비로 504억원을 썼다. 전년 동기 대비 95.9% 증가했다.

IT 기업의 ‘인건비 폭탄’은 자업자득인 측면이 있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소프트웨어 인력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난해 초 넥슨, 넷마블이 개발자 초봉을 5000만원으로 올렸다. 여기에 크래프톤이 직원 연봉을 2000만원 일괄 인상한다고 발표하며 불이 붙었다.

네이버, 카카오 등이 신사업에 뛰어들며 적극적으로 인재 채용에 나선 점도 인건비 상승 원인으로 꼽힌다. 2분기 말 기준 네이버 직원은 4885명으로 1년 전(4235명)보다 15.3% 늘었다. 카카오 직원은 작년 말 기준 3303명으로 1년 만에 20.2% 급증했다.

올해 분위기는 정반대다. 네이버가 신규 채용을 계획 대비 30% 줄였고 AI 교육 스타트업 뤼이드 등 유망 스타트업들도 인력 감축 등을 통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묻지마 채용’으로 뽑아온 고연봉 개발자들이 기대만큼의 역할을 못 한다는 지적도 개발자 채용 시장에 악영향을 줬다는 설명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