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세대란 온다더니···1년새 3억 뚝 '역전세난의 공습'(서울경제)
전세대란 온다더니…1년새 3억 뚝 '역전세난의 공습'
부동산 > 주택 뉴스: 전세가격이 급등하며 ‘대란’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던 아파트 전세 시장이 오히려 침체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주 전국 및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약 10년 만에 최대
www.sedaily.com
전세가격 10년만에 최대폭 하락
수도권 매물 1년새 5만건 →10만건
기준금리 인상에 전세 대출 금리↑
임차인들 전세 대신 월세 선호
전셋값 급락에 깡통전세 경고등
전세가격이 급등하며 ‘대란’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던 아파트 전세 시장이 오히려 침체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주 전국 및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약 10년 만에 최대 폭으로 하락했고 수도권 전세 매물은 최근 1년 사이 두 배로 증가했다.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부담이 커지자 임차인들의 전세 기피 현상으로 전셋값이 하락해 집주인들이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워지는 ‘역전세난’이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30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이번 주(26일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21% 하락해 2012년 5월 둘째 주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래 약 10년 만에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 전세가격 또한 각각 0.28%와 0.15% 하락하면서 모두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서울(-0.18%)은 2019년 2월 셋째 주(-0.22%) 이후 약 3년 반 만에 최대 낙폭을 보였다.
매물 적체도 완연하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 매물은 16만 9660건으로 1년 전인 지난해 9월 30일(8만 3229건) 대비 8만 6431건(103.8%) 늘었다. 최근 1년 동안 수도권 아파트 전세 매물 역시 5만 1877건에서 10만 8042건으로 늘어나면서 두 배가 됐다.
이는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전세 대신 월세를 선택하는 세입자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날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금리(변동금리 기준)는 3.73~6.43%로 상단이 6%를 웃돌고 있다. 반면 KB국민은행이 산출한 전월세 전환율은 △서울 3.24% △경기 4.05% △인천 4.59% 등 전세자금대출 금리에 비해 많게는 2%포인트 이상 낮은 상황이다.
김준형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매매 시장과 맞물려 있는 전세 시장은 가격 하락에 복합적 요인이 있지만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전세 수요가 월세로 빠져나가는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 인상이라는 거시 변수가 매매·전세 시장을 좌우하는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전세대출 금리가 급등하면서 임차인은 월세를 선호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전월세 전환율이 오르기 전까지 전세가격 하락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입주 물량이 집중된 일부 지역에서는 최근 1년 사이 전세가격이 30%까지 하락하는 모습이다. 경기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힐스테이트 영통’ 전용 84.88㎡는 8월 5억 3000만 원에 전세 계약이 체결됐다. 지난해 5월 8억 원에 전세 거래가 이뤄진 것과 비교하면 2억 7000만 원(33.8%) 떨어졌다. 인근 공인 중개 업소 관계자는 “최근 계약은 갱신이 아닌 신규 계약”이라며 “인근 지역에 입주 물량이 몰리며 지난해 높게는 8억 원까지 갔던 시세가 5억 원 초반대로 내려왔다”고 말했다. 이 단지에서 약 4㎞ 거리의 수원 팔달구 매교동에는 올 7월 ‘매교역 푸르지오 SK뷰(3603가구)’, 8월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2586가구)’이 입주했다.
전문가들은 급격한 전세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깡통 전세’ 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우병탁 신한은행 WM컨설팅센터 부동산팀장은 “상당한 수준으로 올랐던 전세가격이 떨어지는 것은 세입자들의 주거 안정에 도움이 돼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면서도 “급격한 가격 하락이 계속되면 집주인이 전세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깡통 전세’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전세 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2. 부동산 규제 풀린 지방, 4만2000가구 분양 물량 풀린다(이투데이)
부동산 규제 풀린 지방, 4만2000가구 분양 물량 풀린다
지방 부동산 규제가 걷히면서 이번 달 분양 시장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달 전국에서 약 6만7000가구가 청약을 받고, 특히 지방은 4만2000여
www.etoday.co.kr
지방 부동산 규제가 걷히면서 이번 달 분양 시장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달 전국에서 약 6만7000가구가 청약을 받고, 특히 지방은 4만2000여 가구가 청약 접수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방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청약 활성화가 예상된다.
1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는 100곳·8만5738가구(임대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일반 분양 물량은 6만6879가구다. 수도권 일반 분양 물량은 2만4978가구(37.3%), 지방은 4만1901가구(62.7%)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만7659가구(32곳, 2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충남 1만1639가구(14곳, 17.4%), 대전 5915가구(4곳, 8.8%) 등의 순으로 물량이 집계됐다. 서울에서는 3129가구(6곳, 4.7%)가 분양될 예정이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규제가 해제되면서 대출과 세제 등 각종 규제 허들이 낮아졌다”며 “업계에서는 분양 시장이 규제 완화 이전과 다를 것이라는 기대감과 금리 인상 등으로 여전히 냉랭할 것이라는 의견이 동시에 나온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달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5대 광역시를 포함한 지방 전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했다. 주요 규제 완화 혜택으로는, 청약통장 가입 6개월 또는 12개월 이상, 만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주택 청약이 가능하다. 다주택 가구주도 1순위 청약을 할 수 있고, 재당첨 제한도 사라진다. 특히 비규제지역의 추첨제 비율은 전용 85㎡ 이하 60~100%, 전용 85㎡ 초과 100%로 청약 가점이 낮은 청약자도 당첨 기회를 얻을 수 있다.
3. 서울 아파트 13건 중 1건 낙찰…낙찰가율 93%(이데일리)
서울 아파트 13건 중 1건 낙찰..낙찰가율 93%[경매브리핑]
이번주 서울 아파트는 13건 중 1건만 낙찰됐다. 1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9월 4주차(9월 26일~30일) 법원 경매는 총 2392건이 진행돼 이중 759건이 낙찰됐다. 낙찰가율은 74.4%, 총 낙찰가는 2,272억원을 기
www.edaily.co.kr
이번주 서울 아파트는 13건 중 1건만 낙찰됐다.
1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9월 4주차(9월 26일~30일) 법원 경매는 총 2392건이 진행돼 이중 759건이 낙찰됐다. 낙찰가율은 74.4%, 총 낙찰가는 2,272억원을 기록했다.
수도권 주거시설은 344건이 경매에 부쳐져 이중 88건이 낙찰돼 낙찰률은 25.6%, 낙찰가율은 78.8%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는 13건이 경매에 부쳐져 이중 1건이 낙찰됐고, 낙찰가율은 93.0%를 기록했다.
낙찰된 물건은 서울 강남구 일원동 목련타운 전용 135㎡이다. 감정가 23억5000만원의 93% 수준인 21억8500만원에 낙찰됐다. 1회 유찰된 매물로, 응찰자수는 11명으로 나타났다.
이번주 최다 응찰자 수 물건은 경기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에 위치한 아파트(전용 85㎡)로 48명이 입찰에 참여해 감정가(2억2000만원)의 139.1%인 3억597만원에 낙찰됐다. 총 958가구의 중형단지로서 해당 물건은 25층 중 2층으로 방3개 욕실 2개 구조다.
4. "금리 인상에…세계 채권·주식 가치 6경원 넘게 줄었다"(데일리한국)
"금리 인상에…세계 채권·주식 가치 6경원 넘게 줄었다" - 데일리한국
[데일리한국 최성수 기자]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하면서 지난 4∼9월 세계 채권과 주식 가치가 6경원 넘게 줄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 니혼게이자이
daily.hankooki.com
세계 각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하면서 지난 4∼9월 세계 채권과 주식 가치가 6경원 넘게 줄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지난 4∼9월 세계 채권과 주식 가치가 총 44조 달러(약 6경3400조원) 줄어 반기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2일 보도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세계 각국이 기준금리를 대폭 올리면서 채권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국제결제은행(BIS)과 블룸버그 세계채권종합지수에 따르면 세계 채권 잔고는 지난 4∼9월 20조 달러 줄어든 125조 달러를 기록했다. 반기 기준으로는 확인 가능한 1990년 이후 가장 큰 감소액이다.
주가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닛케이가 금융정보업체인 '퀵·팩트 세트' 자료를 토대로 세계 주식 시가총액을 확인한 결과 이 기간 110조 달러에서 86조 달러로 24조 달러 줄었다. 이 감소 폭은 '리먼 쇼크'(세계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0월∼2009년 3월(11조 달러 감소)을 웃돌며 2001년 이후 최대인 것으로 분석됐다.
채권과 주식에서 줄어든 총 44조 달러는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치다.
닛케이는 "이런 상황으로 정부와 기업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저금리하에서 팽창한 세계 채무 문제에 불을 붙일 위험이 있다"고 전했다.
5. 손정의 방한…이재용 만나 ARM 빅딜 논의하나(아시아투데이)
손정의 방한… 이재용 만나 ARM 빅딜 논의하나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지난 1일 방한하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의 영국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ARM 지분 인수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현재 ARM 최대주주는 손 회장
www.asiatoday.co.kr
일주일간 한국 머물며 비즈니스 미팅 가질 예정
인수 추진 중인 SK 및 4대그룹간 접촉 가능성도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지난 1일 방한하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의 영국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ARM 지분 인수 관련 논의가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현재 ARM 최대주주는 손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다.
2일 재계에 따르면 손 회장은 지난 1일 오후 4시경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전세기 편으로 입국했다. 방한 목적에 대해 '비즈니스'라고 짧게 답한 그는 약 일주일 가량 한국에 머물 것으로 알려졌다. 손 회장이 이번 방한 중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만나 삼성전자의 ARM 인수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재계는 보고 있다.
지난달 21일 이 부회장은 남미·영국 출장을 마치고 귀국하는 길에 ARM에 대한 M&A 가능성에 대해 "다음 달(10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서울에 온다. 그때 그런(M&A) 제안을 할 듯하다"고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통신도 "손 회장이 (서울)방문을 고대하고 있다. 삼성과 전략적 동맹에 관해 대화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삼성 총수인 이 부회장이 공항에서 해당 멘트를 직접 했다는 점에서 재계에선 이미 상당부분 협의가 진척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재계에선 손 회장이 이번 방한 기간에 이 부회장뿐 아니라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도 만나 컨소시엄을 통한 지분 참여 방식을 제안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은 "ARM은 한 회사가 인수할 수 있는 기업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전략적 투자자들과 함께 컨소시엄으로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ARM은 모바일 기기의 중추인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설계 분야에서 전 세계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는 독보적 업체다. AP 반도체를 설계하고 지적재산권(IP)을 판매해 수익을 얻는다. 삼성전자·애플(모바일 AP), 엔비디아 모두 ARM의 설계를 바탕으로 사업을 하고 있다.
2020년 엔비디아가 400억달러(약 56조원)에 ARM 인수를 시도했지만, 미국·영국의 반독점 기구 승인을 얻지 못했고 지난 2월 결국 인수를 포기한 상태다. 때문에 삼성이 단독으로 ARM 인수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거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0.4)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10.04 |
---|---|
(2022.10.3)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10.03 |
(2022.10.2)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10.02 |
(2022.9.30)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1) | 2022.09.30 |
(2022.9.29)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9.29 |
(2022.9.28)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9.28 |
(2022.9.27)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