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2022

(2022.4.12)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반응형

 

1. 전세금 안돌려준 '나쁜 집주인' 169명…3020억원 떼였다(머니투데이)

 

전세금 안돌려준 '나쁜 집주인' 169명..3020억원 떼였다 - 머니투데이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가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돌려준 전세보증금 대위변제 누적액이 2월 기준 1조3904억원을 기록했고 미회수 금액은 7192억원에 달했다. HU...

news.mt.co.kr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가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돌려준 전세보증금 대위변제 누적액이 2월 기준 1조3904억원을 기록했고 미회수 금액은 7192억원에 달했다. HUG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가입자들이 집주인으로부터 임대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 이를 대신 지급하고 구상권을 통해 임대인에게 청구한다.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영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의 대위변제 금액이 5040억원으로 늘었고 미회수금액도 6637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들어서는 1월, 2월 두 달 사이에 약 970억 원이 증가해 2월 기준 채무자수 3782명에 6868가구 총 1조 3904억 원의 대위변제가 이뤄졌고 이 가운데 구상권 행사를 통해 절반 가량인 6112억원이 회수됐다.

문제는 미회수 금액이 2020년 3771억원, 2021년 6633억원에서 2월 기준 7192억원으로 늘었다는 점이라는 지적이다. 2년 사이 약 5682억원이 늘었다. 대위변제 3건 이상 집중관리 다주택채무자(이하 나쁜임대인) 169명으로부터 발생한 미회수금액이 전체의 42%나 되는 5846억원에 달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수백 채의 집을 가진 최근의 나쁜 임대인 사례를 막기 위해 명단 공개를 포함한 악성 임대인 차단의 대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박의원은 "작년 국감에서 대위변제와 미회수금 문제를 지적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음에도 보증사고 금액이 너무 늘어났다"며 "특히 악성 임대인·채무자에 대한 국토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 이틀 만에 매물 100개 증발…도봉구에 무슨 일이(한국경제)

 

이틀 만에 매물 100개 증발…도봉구에 무슨 일이

이틀 만에 매물 100개 증발…도봉구에 무슨 일이, 안전진단 통과에 높아진 재건축 기대감 양도세·보유세는 부담…집주인들 '갈등'

www.hankyung.com

안전진단 통과에 높아진 재건축 기대감
양도세·보유세는 부담…집주인들 '갈등'


도봉구 일대에 재건축 훈풍이 불면서 서울 도봉구에서 매물이 급격히 늘었다 줄기를 반복하고 있다. 

12일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서울 도봉구의 매물은 최근 사흘 동안 100건가량 줄었다 늘기를 반복했다. 지난달 9일 대선 당시 1732건이던 도봉구 매물은 한 달 뒤인 지난 9일 1871건까지 늘었다. 하지만 이틀 뒤인 11일에는 1767건으로 104건이 급감했고 이날은 하루 만에 59건이 다시 증가해 1826건이 됐다.

현장에서는 도봉구 아파트들이 재건축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하는 등 재건축이 속도를 내자 집주인들이 매도와 보유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는 영향으로 보고 있다. 재건축이 예정된 노후 아파트를 당장 매도해서 얻을 이익과 지속 보유해서 얻을 이익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후 아파트가 밀집한 도봉구는 재건축 안전진단에 나서는 단지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창동의 경우 최근 '창동 주공4단지'가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하면서 창동의 주공아파트 7개 단지(1~4단지, 17~19단지)가 모두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했다. 총가구 수도 1만778가구에 달한다. 쌍문동에서도 '한양 2·3·4차(1635가구)'가 지난달 말 예비 안전진단을 통과해 재건축 궤도에 올랐다.

차기 정부에서 정밀안전진단 기준 완화,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개선 등 재건축 활성화에 나선 가운데 강북권 재건축 단지가 먼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도 높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재건축 공약에 강남 재건축 단지에서 신고가가 이어지고 있다. 시장 자극을 우려한 차기 정부가 강북권 재건축에 우선으로 규제를 완화하지 않겠냐는 시각이다.

일반적으로 재건축 절차가 진행될수록 아파트값은 상승 곡선을 그리지만, 다주택자들은 보유와 매도를 놓고 고심에 빠졌다. 당장 오는 6월 1일 전까지 다주택을 해소하지 않으면 '세금 폭탄'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올해 도봉구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20.66% 상승했다. 서울(14.22%)에서 20% 이상 오른 지역은 도봉구와 노원구(20.17%) 뿐이다. 공시가격이 오르면 이와 연동한 보유세, 건강보험료 등도 오를 수밖에 없다.

정부는 '세금 폭탄' 우려에 세 부담 완화 방안을 내놨지만, 1가구 1주택자에 한해 적용된다. 정부는 "다주택자도 올해 6월 1일 전까지 주택을 매각해 1가구 1주택자가 되면 지난해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과세가 된다"면서 '집 팔라'는 압박을 더했다.

그렇다고 집을 팔기도 쉽진 않다. 현행 소득세법은 2주택자에 기본세율(6∼45%)에 20%포인트를, 3주택자에는 30%포인트를 중과한다. 다주택자가 규제지역에서 집을 팔 경우 양도 차익의 75%를 세금으로 내야 한다는 의미인데, 지방세를 포함하면 세금은 82.5%까지 올라간다.

그나마 차기 정부가 양도세 중과 유예를 약속하면서 퇴로를 열어줬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새 정부 출범 즉시 시행령 개정에 착수해 5월 11일부터 (양도세 중과 유예를) 소급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에 중과세율이 아닌 최고 45%의 기본세율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5월 11일부터 31일 사이에 매도를 마치면 수억원 상당의 양도세 부담을 덜어내고 보유세 폭탄도 피할 수 있다"며 "재건축 주택을 계속 보유할 경우 예상되는 기대수익과 매도해 얻을 이익을 두고 다주택자들의 고민이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3. 국토부 장관 후보자 원희룡 "재개발 규제 완화 신중"(세계일보)

 

국토부 장관 후보자 원희룡 “재개발 규제 완화 신중”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재개발, 재건축 등 민간 정비사업 규제 완화의 속도조절을 시사했다. 뉴스1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초대 국토부 장관 후보로 낙점된 원희룡 대통령직인수위원

segye.com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재개발, 재건축 등 민간 정비사업 규제 완화의 속도조절을 시사했다.

윤석열 정부 초대 국토부 장관 후보로 낙점된 원희룡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기획위원장이 11일 "지나친 규제 완화, 잘못된 가격 신호로 갈 수 있는 규제완화 공급은 윤 정부 미래 청사진에 없다"며 "매우 안정감있고 예측 가능하고 실제 수요에 맞는 현실적 공급 대책을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하며"재건축, 재개발 규제완화 폭탄으로 인해 개발 이익, 투기 이익을 누릴 수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건 큰 착각"이라고 말했다.

원희룡 후보자는 제주도지사 시절 비판했던 현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에 대한 개선의지도 밝혔다.

그는 "일선에서 공시가격에 따라서 세금을 부과받거나 수용가격에 대해 판정 받아야 하는 국민 입장에서 많은 문제점을 느낀게 사실"이라면서도 "이제는 정책 공급자 입장에서 여러면을 종합적으로 살펴서 어디까지가 현실성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고 답했다.

'대수술'을 예고한 임대차3법에 대해서는 "실제 작동이 기대에 못 미쳤다"며 "국가와 정책이 보호하고자 하는 건 절대다수 세입자이자 임차인임을 분명히 하고 그런 기조에서 검토할 것이다"며 재검토 의견을 내비쳤다.

전문가들은 민간 정비 규제완화의 속도조절은 사실상 예정된 수준이었다면서도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차기 정부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최근에 재개발 재건축에서 신고가가 나오다보니 당연한 절차"라며 "기존에 규제중심으로 흘렀던 정도로 속도조절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여전히 시장의 기대감은 있을 것이다"고 내다봤다.

 

4. 부동산에 흘러간 금융자금 2566조…GDP 125%(이데일리)

 

부동산에 흘러간 금융자금 2566조..GDP 125%

부동산 시장에 흘러간 금융자금이 256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GDP의 125%에 달한다. 12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www.edaily.co.kr

시장에 흘러간 금융자금이 256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GDP의 125%에 달한다.

12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는 2566조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대비 12.4%(283조 원) 증가한 수치로 GDP 대비 약 125% 수준이다.

GDP 대비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의 규모는 2018년에 처음 100%를 넘어선 이후 불과 4년새 23.5%포인트 늘어났다. 경제가 성장하는 속도보다 부동산으로 흘러들어간 자금의 규모가 더 빠르게 증가한 셈이다.

이 중 절반(49.4%) 가량은 가계여신이다. 가계여신 중에는 부동산 담보대출이 가장 많은 비중(55.2%)을 차지했다. 다만 전체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중에서 가계여신 비중은 5년새 3.6%포인트 줄었다. 대신 기업여신과 금융투자상품은 증가했다.

지난해 기업여신의 증가율은 17.2%, 금융투자상품의 증가율은 13.5%로 전체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의 증가율보다 더 컸다. 기업여신은 대출금(52%)·사업자 보증(30.5%)·PF대출(17.4%), 금융투자상품은 MBS(50.3%)·부동산펀드(21.4%)·리츠(24.7%)·회사채CP(3.6%)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 중 차주가 채무불이행시 금융기관이 최종적으로 부담을 지는 익스포저의 규모는 1341조원으로 전체의 52% 수준이다. 은행이 55.9%, 비은행이 44.1%를 차지한다. 최근 5년새 비은행의 비중은 4.4%포인트 가량 늘어났고 그만큼 은행의 비중은 줄었다.

장혜영 의원은 “부동산 금융에서 리스크가 발생하면 실물 경제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만큼, 최근 금리인상 상황 등을 감안하면 대출 규제를 완화해서 익스포저를 늘리기 보다는 비은행 등을 중심으로 리스크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5. "전세대출 때문" vs "임대차법 부작용"…전셋값 누가 올렸나?(News1)

 

"전세대출 때문" vs "임대차법 부작용"…전셋값 누가 올렸나?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뉴스1

www.news1.kr

전셋값 급등 원인을 놓고 조사 기관들이 각기 다른 분석 결과를 내놓으면서, 대출시장에서 이에 대한 논쟁이 커지고 있다. 한쪽에선 문턱이 낮은 전세대출이 전셋값·집값 상승을 야기했다며 실수요 대출인 전세대출도 규제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쪽에선 임대차법 이후 전셋값이 폭등해 전세대출이 늘었는데 다른 곳으로 원인을 돌려 정부의 실책을 덮으려 한다며 추가 규제에 반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올해 하반기 계약갱신청구권 만료에 따른 '전세 대란'이 예고된 만큼, 정치적인 논쟁에서 벗어나 시장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지난 10일 발표한 '전세자금대출 증가에 따른 시장 변화 점검' 보고서에서 전세자금대출 증가가 전셋값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주장했다.

(KB경영포커스) 전세자금대출 증가에 따른 시장 변화 점검.pdf
1.03MB

보고서는 "전세대출로 임차인의 대출 부담이 완화돼 전셋값 상승 요인이 됐다"며 "가계 경제 여건 대비 과수요를 유발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전세대출이 공적보증을 통해 낮은 금리에 보증금의 80~90%까지 대출받을 수 있다 보니, 월세 거주자의 전세수요 전환과 상급지로 이사를 희망하는 세입자에게 활용되면서 전셋값이 올랐다는 것이다. 또한 전세대출은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것)에 활용돼 집값 상승도 유발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연구소는 그러면서 과도한 전세대출로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회수하는 차원에서, 현재 이자만 갚는 전세대출도 원리금 상환을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소득기준 대출규제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도 전세대출을 포함해 대출 규모를 줄여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대출·부동산 관련 커뮤니티에선 찬반 논쟁이 거세게 펼쳐지고 있다. 찬성 측에선 현 주택시장 구조상 전셋값이 집값을 떠받치고 있는 만큼, 집값을 잡으려면 전세대출도 과감하게 규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반대 측에선 최근 전셋값 상승은 2020년 임대차3법 시행 이후 대책 부작용으로 전세 물량이 실종돼 폭등했으며, 그로 인해 전세대출이 급증했는데 선후 관계를 뒤바꿔 정부의 실책을 뒤덮으려 한다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KB부동산과 함께 양대 민간 부동산 조사기관인 부동산R114는 앞서 지난 5일 보고서에서 최근 전셋값 급등의 주된 원인으로 임대차3법 부작용을 꼽았다.(관련링크 클릭)

부동산R114 측은 "문재인 정부 5년 누적 상승분의 4분의 3가량이 임대차3법 시행 이후 단기간에 이뤄졌다"며 "과거 2년 주기의 임대차계약이 4년(2+2) 주기로 변하고 5% 상한제로 변경되면서 원활한 전세 물건 소통이 어려워진 영향"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권에선 이와 관련해 올해 하반기 계약갱신청구권 만료에 따른 '전세 대란'이 예고된 만큼 전세대출 문제가 소모적인 논쟁으로 번지는 것을 막고, 임대차시장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는 7월 임대차법 시행 2년 차로 계약갱신청구권 만료 시점이 도래하는데, 새로운 갱신 물량은 전월세상한제(임대료 인상 폭 5% 제한)를 적용받지 않아 전셋값은 주변 시세만큼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세입자들은 부족한 보증금을 대출로 채울 것으로 예상되는데 전세대출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을 경우 주거난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장 다음 달부터 갱신청구권이 만료되는 세입자들이 집을 알아보기 위해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텐데 곳곳에서 서로 다른 규제 시그널이 나오면서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며 "시장 혼란을 최소화할 주거 안정 대안이 제시돼야 한다"고 말했다.

 

6. 비트코인, 한 달 만에 4만달러선 붕괴…긴축 정책 예고에 급락(세계일보)

 

비트코인, 한 달 만에 4만달러선 붕괴...긴축 정책 예고에 급락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 예고에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12일 오전 8시40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6.39% 하

segye.com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 긴축 정책 예고에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12일 오전 8시40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6.39% 하락한 3만9569.75달러에, 이더리움은 7.32% 떨어진 2988.89달러에 거래 중이다. 비트코인은 지난해 11월 최고치를 기록했던 때에 비해 약 40% 하락했으며, 4만 달러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달 16일 이후 처음인 것으로 파악된다.

코인데스크는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과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 속에 주식과 암호화폐 등 투기 자산에 대한 투자비중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트코인이 4만3000달러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주말 장기 청산(long liquidation)의 물결을 촉발시켰다. 이로 인한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이어질 경우 하락세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코인데스크 자료에 따르면 비트코인 거래소 간 거래량은 저조한 편이다. 약 7%에 가까운 가격하락에도 불구하고 주말 동안 거래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연준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5%p의 금리 인상을 결정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동안 늘어난 대차대조표 축소 작업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7.9%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오는 12일 발표 예정인 3월 CPI도 8.3~8.4% 선으로 예측되어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7. 뉴욕증시, 국채금리 최고치 경신 '하락'…나스닥 2.1%↓(프라임경제)

 

[해외시황] 뉴욕증시, 국채금리 최고치 경신 '하락'…나스닥 2.1%↓

[프라임경제] 뉴욕증시는 국채금리가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영향에 큰 폭 하락 마감했다.11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대비 413.04p(-1.19%) 하락한 3

www.newsprime.co.kr

뉴욕증시는 국채금리가 3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영향에 큰 폭 하락 마감했다. 11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대비 413.04p(-1.19%) 하락한 3만4308.08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75.75p(-1.69%) 떨어진 4412.53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299.04p(-2.18%) 밀린 1만3411.96에 장을 마쳤다.

이날 시장은 국채금리 움직임에 주목했다. 오는 12일 예정된 소비자물가지수(CPI) 지표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이 지속되는 가운데, 10년물 국채금리가 2.79%를 기록하며 2019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다.

가파른 금리 상승은 기술주와 성장주 등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지수 하락을 견인했다. 국채금리는 3월 CPI가 8%를 웃돌아 인플레이션 우려에,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긴축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승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3월 CPI가 지난해보다 8.4%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연준의 물가 상승률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3.97달러(-4%) 하락한 배럴당 94.29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6월물 브렌트유 역시 전날보다 4.30달러(-4.2%) 내린 배럴당 98.48달러를 기록했다.

파리 증시 CAC40 지수는 전일대비 0.12% 오른 6555.81, 프랑크푸르트 증시 DAX30 지수는 0.64% 떨어진 1만4192.78에 거래됐다. 런던 증시 FTSE100 지수는 0.67% 밀린 7618.31에 거래를 마감했다.

한편,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50 지수는 전장대비 0.49% 내린 3839.62에 거래를 종료했다.

 

8. 스벅·투썸·엔젤 등 커피 가격 '줄인상'…"기후위기로 원두가격 상승"(쿠키뉴스)

 

스벅·투썸·엔젤 등 커피 가격 ‘줄인상’…“기후위기로 원두가격 상승”

사진=연합뉴스 올 초부터 커피업계에의 가격인상이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할리스, 탐앤탐스, 폴바셋 등에 이어 엔제리너스

www.kukinews.com

올 초부터 커피업계에의 가격인상이 줄줄이 이어지고 있다.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할리스, 탐앤탐스, 폴바셋 등에 이어 엔제리너스도 커피가격을 인상했다. 최근 기후위기로 인한 원두 및 원자재 가격의 상승, 물류비·최저임금 상승 등에 따른 여파다.

커피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투썸플레이스·할리스·탐앤탐스·폴바셋·엔제리너스 등의 커피 가격이 인상됐다. 우선 롯데GRS가 운영하는 커피 프랜차이즈 엔제리너스는 오는 14일부터 제품 판매 가격을 평균 2.5%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약 3년 만에 이뤄진 인상 조치다.

가격 인상 조정 품목은 총 43종(커피류 21종, 티&음료 5종, 디저트류 17종)이다. 종별 대표 메뉴인 아메리카노가 4300원에서 4500원, 허니 레몬티 4900원에서 5000원, 큐브 달콤 브레드 5300원에서 5500원으로 조정된다.

지난 1월 투썸플레이스는 전체 54종 커피·음료 중 21종의 가격을 100~400원 올렸다. 2012년 8월 이후 9년 5개월 만이다. 할리스 역시 커피와 주스류 등 일부 음료 제품 판매 가격을 인상했다. 2014년 이후 약 8년 만의 가격 조정이다. 탐앤탐스는 음료와 베이커리·디저트류 메뉴 총 44종의 가격을 100~800원 인상했다. SPC그룹이 운영하는 파리바게뜨도 커피·티 음료를 400~500원 올렸다.

커피업계는 △원두 및 원자재 가격 상승 △우유 가격 인상 △물류비 상승 △최저임금 상승 등으로 인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국제 커피 가격은 지난해 4월부터 급등하기 시작했다. 국제커피기구(ICO)에 따르면 지난달 평균 원두 가격은 파운드(454g)당 2.03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년 만에 75% 넘게 상승했다. 이는 2011년 9월 2.13달러를 기록한 이후 10년3개월 만에 최고치다.

최근 기후위기도 원두 가격 인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브라질 커피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브라질 커피 생산량은 4880만 7000포대로 전년 대비 22.6% 감소했다. 브라질은 전세계 원두의 3분의1 가량을 생산한다. 커피업계 관계자는 “전세계 원두 70% 가량이 브라질에서 생산된다. 그런데 최근 한파와 가뭄 등 이상기후로 인해 생산에 차질을 빚게 됐다. 2위 생산국인 베트남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9. SK까지 가세했다…수소 이어 기업들 미래에너지戰 시작된 이것은?(헤럴드경제)

 

SK까지 가세했다…수소 이어 기업들 미래에너지戰 시작된 이것은? [비즈360]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차세대 원자력발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Small Modular Reactor)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삼성, GS, 두산 등에 이어 SK까지 가세하는 형국이다. SMR은 기존 안전성·경제성·유

biz.heraldcorp.com

차세대원전 진출 쇄도
안전성·경제성·유연성·환경성 우수 평가
수소와 함꼐 미래에너지 먹거리 도전
尹정부 정책수혜도 기대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차세대 원자력발전인 소형모듈원자로(SMR·Small Modular Reactor) 사업에 속속 뛰어들고 있다. 삼성, GS, 두산 등에 이어 SK까지 가세하는 형국이다. SMR은 기존 안전성·경제성·유연성 뿐 아니라 환경성까지 고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수소와 더불어 미래 에너지 부문으로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 탈원전 폐기 속 SMR에 대한 적극 지원이 예상되는 새 정부의 정책 수혜까지 기대하는 모습이다.

12일 SK그룹에 따르면 SK는 투자형 지주사인 SK㈜를 중심으로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가 세운 테라파워를 포함, 투자에서 나설 SMR 기업들을 놓고 최종 저울질 중이다. SK㈜ 관계자는 이날 “글로벌 넷제로(탄소중립) 기여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지난해부터 그룹 차원에서 SMR 기업에 대한 투자를 검토해 왔다”며 “투자 대상을 최종 결정한 단계는 아니고, 투자 규모 등의 사항은 추후 확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테라파워는 빌 게이츠가 2006년 설립한 SMR 개발회사다. ‘투자의 현인’이라 불리는 워런 버핏 소유의 전력회사 퍼시피코프와 협력, 2024년부터 미 서부 와이오밍주에 345㎿ 규모의 SMR(‘나트륨’) 건설에 들어간다.

국내에서 SMR 진출을 선도해 온 곳은 두산이다. 원전 건설 기술을 갖고 있는 두산에너빌리티(구 두산중공업)는 세계 1위 SMR 기업인 미 뉴스케일파워에 지분을 투자했고 2030년 완공 예정인 뉴스케일파워 SMR의 원자로 설계·엔지니어링과 조립·생산도 맡았다. 초도 기자재 납품권도 확보한 두산에너빌리티는 글로벌 SMR 파운드리(생산전문설비)를 구축, 연평균 8000억원 규모의 수주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삼성물산과 GS에너지도 뉴스케일파워 투자에 나선 상태이고, 삼성물산은 뉴스케일파워 반응로 설치와 제반시설 건설을 담당하고 있다. 해양플랜트 제작 기술을 보유한 삼성중공업은 해상 SMR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덴마크 용융염원자로 개발사인 시보그와 부유식 원전 설비를 공동 개발 중이다. 삼성중공업은 년연 최대 800㎿급 부유식 원전설비 모델을 개발, 선급 인증과 영업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후 부유식 발전설비에서 생산된 전력을 활용한 수소 ·암모니아 생산설비 개발까지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대엔지니어링도 미국 기계학회로부터 원자력 부문 설치 및 공장조립 등에 대한 인증을 획득한 상태다. 이를 기반으로 SMR 시장에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SMR은 발전용량이 대형 원전의 3분의 1에서 5분의 1 수준인 300㎿ 안팎으로 공장에서 부품을 생산해 조립해 건설하는 원전을 가리킨다. 기존 원전기기(가압기, 펌프, 증기발생기 등)와 냉각시스템을 하나의 용기에 통합해 제작한다. 공장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현장 조립으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며 그린수소, 열, 담수 등의 생산도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경제성이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여기에 입지 조건이 자유롭고 실시간으로 조정된 출력이 가능해 유연성을 갖췄다는 분석이다. 또 피동형 시스템에 따라 안전장치 가동에 외부전력이 필요 없고 강력한 내진설계가 기반이 돼 원전 최대 취약점으로 꼽히는 불안전성도 상당부분 보완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타발전 대비 탄소배출이 거의 없어 환경성까지 우수, 바로 이 대목이 SK의 사업 진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다.

SMR은 원자로·냉각재 종류에 따라 경수로형(PWR), 소듐냉각형(SFR), 고온가스형(HTGR), 용융염냉각형(MSR) 등으로 나뉜다. 테라파워의 SMR은 소듐냉각형 방식이다.

 

10. 코스피, 외인·기관 동반 매도에 하락…코스닥도↓(머니S)

 

[마감] 코스피, 외인·기관 동반 매도에 하락… 코스닥도↓ - 머니S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밀려 하락 마감했다.1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6.34포인트(0.98%) 하락한 2666.76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은 5619억원을 순매수했으

moneys.mt.co.kr

1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6.34포인트(0.98%) 하락한 2666.76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개인은 5619억원을 순매수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651억원, 1213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일제히 하락했다. 삼성전자(-1.33%) LG에너지솔루션(-3.29%) SK하이닉스(-0.45%) 삼성바이오로직스(-1.37%) NAVER(-1.44%) 삼성전자우(-2.26%) 카카오(-1.05%) 삼성SDI(-1.37%) 현대차(-0.84%) LG화학(-0.98%)은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01포인트(0.87%) 하락한 913.82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개인은 1104억원을 순매수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45억원, 876억원을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은 혼조세다. 엘앤에프(0.96%) 펄어비스(2.86%) 스튜디오드래곤(0.78%)은 상승했다. 에코프로비엠(-2.98%) 셀트리온헬스케어(-0.17%) 카카오게임즈(-8.25%) 셀트리온제약(-1.46%) HLB(-0.68%) 천보(-0.39%) 위메이드(-11.64%)는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날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세에 하락세를 기록했다"며 "장중 2650선까지 하락 후 오후 들어 추가 하락은 제한되는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 3월 소비자물가 발표를 앞두고 경계심리가 확대 돼 투자심리가 악화됐다"고 덧붙였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