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기초와 실무 노하우

주식 용어 이해하기 - 유상증자(2) (Feat. 주식발행 초과금, 자본잉여금, 주주의 지분율)

반응형

 

앞서 사례를 통해 유상증자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았습니다. '기업이 다양한 목적으로 자금이 필요하여 자본금을 늘리고자 새로운 주식(신주)을 발행해서 주주(투자자)들에게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가격보다 20~30% 싸게 파는 행위' 정도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세부 내용과 사례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주식 용어 이해하기 - 유상증자(1) (Feat. 유상증자 개념)

네이버 지식백과를 통해 유상증자를 살펴보면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근대사 최고의 발명품, 자본주의의 꽃. 우리가 회사라고 부르는 '주식회사'의 다른 이름들이다. (물론 회사는 주식회사 외

betherich.tistory.com

 

유상증자를 실시하게 될 경우 기업은 필요한 자금 조달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투자자는 기업이 좋은 목적으로 유상증자를 실시할 경우 현재 주가보다 저렴한 가격에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향후 기업의 주식 가격이 높아질 경우 시세 차익을 노릴 수도 있고, 보다 많은 주식을 보유하게 되어 주식 지분율이 높아질 경우 주주로서 의결권을 보다 적극적으로 행사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보다 자세하게, 유상증자를 실시하게 될 경우 기업 재무상태가 어떻게 바뀌는지, 주식 지분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앞에서도 살펴봤던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갑은 액면가 500원에 주식 20만 주를 발행하여 마련한 자본금 1억 원(500원 x 20만 주)으로 시작했던 치킨집을 시작했고, 2년 만에 매출액은 5억 원, 순이익은 6,000만원이라는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주변에서는 3억 원을 줄테니 치킨집 권리를 넘기라고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액면가 500원이었던 주식은 주당 1,500원의 가치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1,500원 x 20만 주 = 3억 원)

치킨집이 계속 잘 되니 치킨집 주인 갑은 2호점을 내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치킨집 2호점을 내려면 5천만 원이 추가로 필요한 상황입니다.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도 있겠지만 매달 나가는 원금과 이자를 갚기가 조금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고민했습니다.

 

그러던 중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투자자들에게 우리 치킨집 주식을 구입하라고 하고,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으면 어떨까? 현재 우리 치킨집 가치가 3억 원이면 기존 액면가 주식이 500원에서 1,500원으로 3배나 오른 거잖아?

투자자 입장에서는 우리 치킨집 가치가 앞으로 더 오를 거라고 생각하면 손해볼 거 없지? 주식 발행가를 1,000원으로 해서 5만 주(5만 주 X 1,000원 = 5천만 원)를 추가로 발행하여 투자자를 모집해 보면 어떨까?

 

치킨집 주인 갑은 자본금을 늘려 은행에 대출 안 받고 투자할 수 있어서 좋고, 투자자 입장에서는 1,500원짜리 가치가 있고 앞으로 더 오를 우리 치킨집 주식을 1,000원에 받을 수 있어서 좋다는 생각으로 투자자를 모집합니다. 다음 날 을이라는 사람이 선뜻 5천만 원을 투자하겠다고 전화가 왔습니다.

 

이럴 경우 을이라는 사람에게 5천만 원 상당의 주식(5만 주 x 1,000)을 줘야 합니다. 비록 주식 액면가는 500원이었지만 치킨집이 지난 2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고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있기에 주식 발행가를 1,000원으로 해서 5만 주를 지급했습니다. 이게 따지면 유상증자입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어떻게 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앞서 공부했던 재무상태표 상 자본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아래 표에 나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자본금(처음 설립 당시 들어간 자본)이 증가합니다.

 

앞서 자본금은 주식 액면가 x 발행 주식 수 였습니다. 때문에 주식 액면가 500원 x 발행 주식 수 5만 주 = 2,500만원 의 금액만큼 자본금이 증가합니다. 이럴 경우 자본금은 기존 1억 원(500원 x 20만 주)에서 1억 2,500만원(500원 x 25만 주)으로 증가합니다. 

 

반응형

 

2. 자본 잉여금이 발생합니다. 

 

주가는 1,500원이었지만 갑은 을에게 1,000원에 주식을 발행하였습니다. 그래서 을은 5,000만원(1,000원 x 5만 주)를 투자하게 된 것이었지요. 이 중에 액면가 500원에 해당되는 금액 2,500만원(500원 x 5만 주)은 자본금에 들어갔습니다. 그래서 자본금은 기존 1억 원에서 1억 2,500만원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5,000만원 중 자본금으로 들어간 2,5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2,500만원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이 금액은 '주식발행 초과금'이라는 명목으로 자본잉여금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2,500만원은 '자본잉여금'이라는 항목으로 자본에 편입됩니다.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돈은 자본에서 '이익 잉여금'이라는 계정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앞서 사례를 통해 언급한 순이익 6,000만원은 아마도 '이익 잉여금' 계정으로 향후 자본에 편입될 것 같습니다. 반면 이렇게 유상증자를 통해 발생한 주식발행 초과금은 자본 거래를 통해 벌어들이게 된 돈이므로 이는 '자본 잉여금'이라는 계정에 포함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앞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728x90

 

3. 주주의 지분율이 변동됩니다.

 

앞서 치킨집 주식 지분율은 갑이 100% 입니다. 설립 당시 발행했던 20만 주 모두 갑의 소유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유상증자를 했을 경우 5만 주를 추가로 발행하였고, 이는 을이라는 투자자가 취득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치킨집 주식 수는 25만 주(기존 20만 주 + 신주 5만 주)가 되고, 갑의 지분율은 기존 100%에서 80%로 감소합니다.(전체 주식 25만 주 중 20만 주 보유)

반면 을은 5만 주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주식 25만 주 중 5만 주 보유하게 된 을의 지분율은 20%가 됩니다.

따라서 치킨집 주주의 지분율은 기존 갑 100%에서 갑 80%, 을 20%으로 변동됩니다.

 

이런 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면 재무적으로 어떻게 변하는지, 주주의 지분율이 어떻게 변동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