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점수와 신용등급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신용점수제 도입', '신용점수 높이는 방법'에 이어 '신용점수 관련 오해와 진실' 등에 대한 내용을 폭넓게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내 신용점수를 어디서 확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첫 번째로 신용평가기관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여 해당 기관에 대한 신용점수를 알아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서민금융 1332 무료신용조회 방법(https://www.fss.or.kr/s1332/debt/debt0404.jsp, 아래링크 참고)에서 알려주는 절차에 따라 신용점수를 '연 3회 무료로', 내 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용평가기관별 조회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나이스평가정보(나이스지키미)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PC조회와 모바일조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PC조회 방법입니다.
이어서 모바일 조회 방법입니다.
2.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
나이스지키미와 마찬가지로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PC조회와 모바일조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PC조회 방법입니다.
이어서 모바일 조회 방법입니다.
하지만 홈페이지를 통해 회원가입하는 절차가 솔직히 조금 귀찮습니다. 물론 '비회원'으로 조회할 수도 있겠지만 본인인증하는 것 또한 꽤나 짜증나는 일입니다. 때문에 우리가 주로 이용하는 핀테크 업체인 네이버, 카카오, 토스 및 뱅크샐러드 등을 이용하여 내 신용점수를 조회할 수 있다고 합니다.
3. 네이버페이 신용관리(아래 링크 참고)
지난 2021년 1월 28일부터 나이스평가정보와 협력해 '네이버페이 신용관리'를 시작했다고 합니다.(관련 뉴스 아래 링크 참고)
나이스평가정보와 협업하여 개인 신용점수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수가 산정된 상세 사유를 분석한 리포트 등을 확인함으로써 신용 상태에 대한 종합적 진단, 관리가 가능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만약 내가 나이스평가정보(나이스지키미)의 신용점수가 필요할 경우 네이버페이로 접속하여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4. 카카오페이 신용조회
지난 2021년 초 신용점수제 도입에 따라 카카오페이는 KCB(코리아크레딧뷰로, 올크레딧)과 협력해 '신용조회 서비스'를 개편했다고 합니다.(관련 뉴스 아래 링크 참고)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와 협업하여 개인의 신용점수와 평균대비 신용도를 조회할 수 있고, 네이버페이와 마찬가지로 신용점수 상승에 직접 관여할 수 있도록 2021년 말까지 기능을 추가하겠다고 합니다. 때문에 만약 내가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의 신용점수가 필요할 경우 카카오페이로 접속하여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5. 토스 신용조회
토스는 신용조회와 관리가 가능한 무료 신용조회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2017년부터 선보였다고 하며 출시 2년 만에 누적 사용자 1,000만 명 이상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합니다.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 협업하여 신용 상태에 대한 종합적 진단, 관리가 가능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만약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의 신용점수가 필요할 경우 토스에 접속하여 확인하면 될 것 같습니다.
6. 뱅크샐러드. 페이코 등
뱅크샐러드와 페이코 또한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와 협업하여 개인의 신용점수를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내 신용점수를 평가하는 기관은 크게 나이스평가정보(나이스지키미),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 정도가 있습니다. 해당 기관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거나 비회원으로 개인인증을 마치면 내 신용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기관에 회원가입을 하기 귀찮거나 개인인증을 하기 싫다면 일상 생활 속에서 자주 이용하는 핀테크 업체를 통해 내 신용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체마다 각각 신용점수 평가기관과 협업하여 신용점수와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중 네이버페이는 나이스평가정보(나이스지키미), 카카오페이와 토스, 뱅크샐러드와 페이코는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과 협업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내가 나이스지키미에서 평가한 신용점수가 필요하다면 나이스평가정보(나이스지키미) 홈페이지에 직접 조회해서 내 신용점수를 알아보거나 네이버페이를 통해 나이스지키미에서 평가한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내가 올크레딧에서 평가한 신용점수가 필요하다면 코리아크레딧뷰로(올크레딧) 홈페이지에 직접 조회해서 내 신용점수를 알아보거나 카카오페이, 토스, 뱅크샐러드, 페이코 등을 통해 올크레딧에서 평가한 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조금은 장황하게 공부했지만 해당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기타 > 부자가 알아야 할 각종 기본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결제일(2) (T+2 결제제도, 3영업일 결제, 3일 결제) (0) | 2022.01.31 |
---|---|
주식 결제일 (1)(T+2 결제제도, 3영업일 결제, 3일 결제시스템) (0) | 2022.01.30 |
규제지역(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 의미와 지정기준 (0) | 2021.08.30 |
신용점수와 신용등급(4) - 신용점수 관련 오해와 진실 (0) | 2021.08.27 |
신용점수와 신용등급(3) -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기타 유용한 Tip들) (0) | 2021.08.26 |
신용점수와 신용등급(2) -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카드 사용관련) (0) | 2021.08.22 |
신용점수와 신용등급(1) - 신용등급 조회와 신용점수 조회, 그리고 신용등급 점수표 (0)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