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부자가 알아야 할 각종 기본상식

신용점수와 신용등급(1) - 신용등급 조회와 신용점수 조회, 그리고 신용등급 점수표

반응형

직장인으로서 한 달에 한 번씩 월급 받아 그에 맞게 생활해 왔습니다. 물론 주택을 매수할 당시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을 받았기 때문에 빚의 액수는 꽤 큽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금리도 낮았고 고정금리이기 때문에 원리금을 갚는다고 가계 경제가 휘청거릴 정도의 부담은 없습니다. 그리고 웬만한 것(카드값, 각종 관리비 등)은 모두 자동이체 해놓았기 때문에 딱히 연체가 될 일도 없었습니다. 

 

한 달에 한 번씩 카카오페이, 토스 등에서 '신용 어쩌구저쩌구' 관련 안내가 뜹니다. 확인해 보면 점수는 900점대 후반 정도가 나옵니다. 높은 편인 것 같지만 사실 그러려니 했습니다. 딱히 신용과 연관지을 만한 일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월세대출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신용에 따라 대출한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아래 링크 참고), 신용대출을 받을 때 대출금리 또한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전월세대출(6) (Feat. 보증기관별 전세자금대출 비교)

앞서 전세대출은 '보증기관의 보증서'를 담보로 하는 담보대출이라는 것, 그리고 보증기관은 3개 기관(HUG주택도시보증공사, SGI서울보증, HF한국주택금융공사)이 있다는 것, 그리고 3개 기관별 전

betherich.tistory.com

 

그리고 간혹 헷갈리는 게 있었습니다. 신용에 대하여 기존에는 1등급, 2등급 이런 식으로 신용등급 조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언젠가부터 신용점수 조회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내용에 대하여 한 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신용점수 조회 관련 '신용점수제 도입'

 

2021년 1월 1일부터 '신용등급 점수제 전환'이 되었다고 합니다. 2020년 12월 28일 보도된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1p

 

쉽게 이야기해서 10등급으로 분류하여 획일적으로 이루어지던 신용등급 조회 방식이 1,000점 만점인 신용점수 조회 방식으로 전환된다는 이야기입니다. 대출을 받으려고 하거나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려 할 경우 신용등급 조회 방식으로는 등급 간 점수의 차이가 크지 않더라도 등급이 다르다는 이유로 원하는 금융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신용점수 조회 방식을 통해 금융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 신용등급 조회 방식일 경우 신용등급 7등급 상위에 해당되는 대출 희망자의 경우 신용등급 6등급 하위와 큰 격차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용등급이 7등급이라는 이유로 제도권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새롭게 도입되는 신용점수 조회 방식의 경우 600~664점 정도에 해당하여 기존의 신용등급 6등급과 유사하게 적용을 받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입니다. 

 

2. 신용등급 점수표

 

그렇다면 기존의 신용등급 조회 방식과 현재 신용점수 조회 방식이 어떻게 매칭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신용등급이 현재 신용점수로 대략 몇 점 정도인지를 판단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월세대출에 대하여 공부하면서 신용평가기관이 2개(올크레딧, 나이스지키미)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기존 신용등급이 신용평가기관 신용점수에 어떻게 매칭되는지는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내 신용점수가 KCB(올크레딧) 점수로 920점일 경우 기존 신용등급으로 판단했을 때 2등급 정도가 되고, 내 신용점수가 NICE(나이스지키미) 점수로 760점일 경우 기존 신용등급으로 판단했을 대 5등급 정도가 된다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3. 이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앞서 신용등급 조회가 신용점수 조회로 전환된 이유가 신용등급 조회 방식으로는 등급 간 점수의 차이가 크지 않더라도 등급이 다르다는 이유로 원하는 금융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신용점수 조회 방식을 통해 금융접근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카드발급이나 각종 서민금융상품 지원 관련 금융서비스가 2021년 1월부터 신용점수 조회를 통해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세부 내용은 2020년 12월 28일 보도된 금융위원회의 보도자료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3p

 

신용카드발급 기준으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신용등급 조회 결과 6등급을 신용점수 조회 결과에 대입해볼 경우 KCB(올크레딧)으로는 630~697점입니다. 하지만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신용카드발급 기준을 보면 KCB(올크레딧) 신용점수 조회 결과 576점 이상이면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금융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정부 측의 설명입니다. 

 

과거에 신용등급 조회 결과 몇 등급, 몇 등급 이런 식으로 획일적으로 구분되는 것보다는 훨씬 바람직한 방향으로 전환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내 신용점수를 어떻게 높여야 하는지에 대하여도 보다 자세히 알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