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기초와 실무 노하우

주식 용어 이해하기-BPS(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반응형

이번에는 BPS(Book-Value Per Share) 입니다. 한글로는 '주당순자산', '주당순자산가치'라고 부릅니다. 인터넷에 'BPS'로 검색해 보니 '기업의 순자산(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이며 '기업이 활동을 중단한 후 남은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누어줄 경우 1주 당 얼마씩 배분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합니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일단 알 듯 말 듯 합니다. 그래서 영어사전을 통해서 뜻을 찾아보았습니다. 이전 Pbr에서 언급했던 대로 Book-Value는 '회계 용어로 장부가격, 1주(株)당 순자산' 으로 번역합니다. Per는 '~~'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1인 당, 1박 당, 1개 당 할 때 그 ~~당') 그리고 Share는 '주, 주식'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때문에 Book-Value를 번역하면 '순자산 주당'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고, 때문에 전문가들께서 우리말로 표현할 때는 조금 더 부드럽게 '주당순자산', '주당순자산가치' 정도로 한 것 같습니다.

 

사실 이렇게만 봐도 이해는 갑니다. 하지만 뒤돌아서면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례를 가정하고 ROE, ROA, PER, PBR 때와 비슷하지만 살짝 다른 예시에 사례를 추가하여 실제로 BPS를 구해 보면서 BPS의 개념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사례) 오랫동안 눈여겨봤던 상가 건물에 치킨집을 창업했습니다. 창업에 필요한 자본금은 대략 1억 원 정도를 생각했습니다. 보다 '책임감 있고 폼도 나게' 운영하고자 법인으로 시작했습니다. 주식을 발행할 준비를 했고 액면가 500원에 주식 20만 주를 발행하여 자본금을 마련하기로 협의했습니다.(500원 x 20만주 = 1억 원) 자본금 1억 원과 은행 부채 등을 합쳐서 보증금 1억 원을 내고 나머지 돈으로 각종 재료와 집기(치킨 튀김기, 닭, 양념 등)를 구입했습니다. 법인 형태로 책임 있게 1년 동안 열심히 장사를 하니 어느덧 연매출 3억 원이 되었습니다. 직원들 인건비 및 각종 재료구입비 등등 이것저것 나가는 모든 돈 2억 7천만 원을 빼니 3천만원의 순이익이 생겼습니다. 
부동산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위치도 좋고 단골 고객들도 있고 해서 권리금 1억 원을 받고 팔 수 있을 것 같다고 합니다. 이렇게 될 경우 기존에 건물주에게 드린 보증금 1억 원과 권리금 1억 원을 합쳐 2억 원 정도의 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치킨집 운영이 좋기도 하고, 법인으로써 책임감을 가지고 일해야 하기 때문에 치킨집을 더 키우고 싶었습니다.

또다시 1년이 흘렀습니다. 홍보를 많이 하고 정성스럽게 손님들을 모시니 치킨집의 단골들은 더욱 늘어나고 매출액 또한 더욱 늘었어 5억원이 되었습니다. 손님들이 늘어나니 직원들도 더 많이 채용해야 하고 제반 비용도 더욱 많이 늘어나 이것저것 나가는 돈이 4억 4천만원이었지만 순이익은 6천만원으로 더욱 늘어났습니다.(연매출 5억 - 나가는 돈 4억 4천만원 = 6천만원) 그러다 보니 이 치킨집을 매수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더욱 늘어났고 부동산에서는 권리금 2억 원을 제시하는 사람이 있으니 매도하는 게 어떻겠냐는 연락이 왔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기존에 건물주에게 드린 보증금 1억원에 보증금 2억원을 합쳐 3억원 정도의 가치를 인정받았다고 생각하니 뿌듯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BPS은 이렇게 구합니다.

 

'기업의 순자산'를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 = (순자산 / 발행 주식 수) = 1억원 / 20만 주 = 500원

 

따라서 BPS는 500원이 되고 이걸 알기 쉽게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BPS는 주당순자산, 기업의 자기자본(순자산)을 그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즉, 회사가 혹시라도 사업을 운영하지 않고 활동을 중단하게 되어 청산할 경우 주주에게 분배될 몫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주주 입장에서는 회사가 청산할 때 얼마나 내 몫을 챙겨갈 수 있을까에 대한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때문에 BPS가 높을수록 일반적으로는 안정성이 높아 투자에 대한 리스크가 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식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BPS에는 주가관련 정보가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어차피 초기에 들어가는 내돈(자기자본금, 순자산)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기에 주가가 자산가치에 비해 어떻게 평가되었는지에 대하여는 이전에 말씀드린 PBR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링크 참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