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언급드린 ROE에 이어 이번에는 ROA(Return on Asset) 입니다. 한글로는 '총자산이익률, 자산수익률, 총자산 순수익률' 등으로 부릅니다. 인터넷에 'ROA'로 검색해 보니 '총자산 대비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 총자산) × 100'의 공식으로 산출된다.'라고 합니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당연히 무슨 말인지...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영어사전을 통해서 뜻을 찾아보았습니다. Asset은 '자산, 재산' 정도라고 번역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대로 Return은 수많은 뜻이 있지만 '수익' 정도라고 번역됩니다.때문에 Return on Asset를 번역하면 '자산에 대한 수익'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고, 때문에 전문가들께서 우리말로 표현할 때는 '총자산 순이익률'정도로 한 것 같습니다.
사실 이렇게만 봐도 이해는 갑니다. 하지만 뒤돌아서면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례를 가정하고 ROE 때와 동일한 예시를 통해 실제로 ROA를 구해 보면서 ROA의 개념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사례 : 저는 오랫동안 눈여겨봤던 상가 건물에 치킨집을 1억 5천만원에 창업했습니다. 보증금이 1억이고 치킨집을 세팅하기 위해서는 5천만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제 수중에 가진 돈을 탈탈 털어도 1억밖에 없었습니다. 때문에 신용대출을 통해 은행으로부터 5천만원을 받아 1억 5천만원의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일단 보증금 1억 원을 건물주에게 드리고, 나머지 5천만원은 내부 시설공사(인테리어)와 치킨을 튀기기 위한 각종 집기류, 치킨의 원료가 되는 닭과 양념 등을 구입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1년 동안 열심히 장사를 하니 연매출 2억이 되었습니다. 거기서 직원들 인건비 및 각종 재료구입비 등등 이것저것 나가는 돈들을 모두 빼니 3천만원의 순이익이 생겼습니다. |
그림으로 다시 한 번 표현해 보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ROA는 이렇게 구합니다.
'내가 얻은 순이익'을 내 돈(자기자본금, 순자산)과 남의 돈(부채)를 더한 총자산(내 돈+남의 돈)으로 나눈 것에 100을 곱한 수치= [순이익 / 총자산(=자기자본금+부채)] x 100
앞서 말씀드린 대로 ROA는 내 돈과 남의 돈을 합친 총자산을 가지고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여기서 총자산은 내가 가지고 있는 돈에 남의 돈을 빌린 총 금액일 겁니다. 그리고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는 연매출에서 모든 비용을 뺀 나머지 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때문에 사례와 그림을 통해 확인한 것처럼 내게 있는 총 금액(자기자본금+부채)은 1억 5천만원이고, 연매출에서 모든 비용을 뺀 나머지 돈이 3천만원이기 때문에 ROA는 (3천만원 / 1억 5천만원)에 100을 곱하여 20%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사실 ROA는 ROE만큼 자주 쓰이는 지표는 아닙니다. 하지만 굳이 이 두 가지 지표를 같이 보아야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앞서 ROE 편에서(링크 참고) '일반적으로 ROE가 높은 기업이 좋다.'라고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A라는 기업이 ROE가 높아 보이는데 A라는 기업이 정말로 좋을까?'에 대한 내용을 다시 한 번 검증하는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금 경우와 상황은 똑같지만 살짝만 바꿔 보겠습니다.
얼핏 봤을 때는 똑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아까는 내돈(자기자본)이 1억이었고 남의돈(부채)가 5천만 원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내돈(자기자본)이 5천만원이고 남의돈(부채)가 1억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ROE와 ROA를 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앞서 내돈이 1억 원이었을 때 ROE는 30%였습니다. 하지만 내돈이 5천만 원일 경우 ROE는 무려 60%가 됩니다. 무려 2배가 증가한 수치이죠? 하지만 ROA는 20%로 동일합니다. 어차피 내돈(자기자본금)과 남의돈(부채)를 합친 금액은 1억 5천만원으로 똑같기 때문입니다.
헷갈리실까봐 아까 경우와 비교하여 다시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ROE가 높을수록 경영효율성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ROE가 2배 높아졌으므로 경영효율성이 2배가 더 높군!'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정말로 ROE가 높은 회사가 좋은 회사일까요? 총자산 1억 중에 부채를 보면 누가 더 많은가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부채가 높으면 뭔가 리스크가 있어 보이지 않으세요?(물론...레버리지를 이용해서 투자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빚이 많으면 항상 뭔가 불안해 보이잖아요?)
여기서 말씀드리고 싶은 건 이겁니다.
- ROE라는 수치는 경영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임에 틀림없지만 부채가 많아질 경우 증가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일부 기업에서는 의도적으로 부채를 높여 ROE를 높게 보이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럴 경우 'ROE가 높네? 좋은 기업이구나!'라고 하면 안 된다는 것이지요.
- 잘 아시겠지만 부채가 많다고 하면 당연히 리스크가 있겠죠? 때문에 ROE와 ROA를 확인하여 차이가 많이 나는 것 같다면 '이 기업은 부채가 많은 것 같군' 정도로 해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때문에 'ROE가 높은 기업 = 경영효율성이 높은 기업 =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ROA와 비교해 보고 재무적으로 우량한 회사인지를 판단해 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참고로 관련 내용은 클래스101 '미주부' 님의 강의와 '미주부'님의 저서에서 배운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며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어려운 개념을 굉장히 쉽게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잘 갔습니다.)
1. 클래스101 왕초보도 할 수 있는 미국주식 투자, 배당금으로 제2의 월급 만들기
2. '돈 되는 미국주식 종목 찾는 방법 - 미국주식으로 부자되기' 도서
'주식 > 주식 기초와 실무 노하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용어 이해하기-PEGR(Price Earning to Growth Ratio, 주가이익성장비율) (0) | 2021.05.20 |
---|---|
주식 용어 이해하기-PSR(Price Sales Ratio, 주가 매출액 비율) (0) | 2021.05.19 |
주식 용어 이해하기-BPS(Book-Value Per Share, 주당순자산가치) (0) | 2021.05.17 |
주식 용어 이해하기-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0) | 2021.05.16 |
주식 용어 이해하기-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0) | 2021.05.15 |
주식 용어 이해하기-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0) | 2021.05.14 |
주식 용어 이해하기-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