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주식 기초와 실무 노하우

주식 용어 이해하기-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반응형

이번에는 PER(Price Book-value Ratio) 입니다. 한글로는 '주가순자산비율' 이라고 부릅니다. 인터넷에 'PBR'로 검색해 보니 '주가를 주당순자산(BPS)으로 나눈 수치 또는 시가총액을 순자산(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으로 나눈 수치로 계산되며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가 되는가, 시가총액이 순자산(총자산에서 유동부채, 고정부채 등을 차감한 금액)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라고 합니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당연히 무슨 말인지...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영어사전을 통해서 뜻을 찾아보았습니다. Price는 '값, 가격' 정도라고 번역합니다. Book-value는 '회계 용어로 장부가격, 1주(株)당 순자산' 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Ratio는 '비율'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때문에 Price Book-value Ratio를 번역하면 '(주식)가격 순자산 비율'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고, 때문에 전문가들께서 우리말로 표현할 때는 '주가(주식가격) 순자산 비율'정도로 한 것 같습니다.

 

사실 이렇게만 봐도 이해는 갑니다. 하지만 뒤돌아서면 잊어버리기 때문에 사례를 가정하고 ROE, ROA, PER 때와 동일한 예시에 사례를 추가하여 실제로 PBR를 구해 보면서 PBR의 개념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사례) 오랫동안 눈여겨봤던 상가 건물에 치킨집을 1억 5천만원에 창업했습니다. 보증금이 1억이고 치킨집을 세팅하기 위해서는 5천만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제 수중에 가진 돈을 탈탈 털어도 1억밖에 없었습니다. 때문에 신용대출을 통해 은행으로부터 5천만원을 받아 1억 5천만원의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일단 보증금 1억 원을 건물주에게 드리고, 나머지 5천만원은 내부 시설공사(인테리어)와 치킨을 튀기기 위한 각종 집기류, 치킨의 원료가 되는 닭과 양념 등을 구입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1년 동안 열심히 장사를 하니 연매출 2억이 되었습니다. 거기서 직원들 인건비 및 각종 재료구입비 등등 이것저것 나가는 돈들을 모두 빼니 3천만원의 순이익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1년 후, 너무 힘들어 장사를 접을 생각으로 치킨집을 부동산에 내놓았습니다. 부동산에 문의해 보니 위치도 좋고 단골 고객들도 있고 해서 권리금 1억 원을 받고 팔 수 있을 것 같다고 합니다. 이렇게 될 경우 기존에 건물주에게 드린 보증금 1억 원과 권리금 1억 원을 합쳐 2억 원 정도를 받고 치킨집을 넘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림으로 한 번 표현해 보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PBR은 이렇게 구합니다.

 

'치킨집 가치'를 '순자산'으로 나눈 수치 = [기업가치(시가총액) / 순자산] = 2억원 / 1억원 = 2배

 

앞서 말씀드린 대로 PBR는 기업가치(시가총액)이 순자산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여기서 기업가치는 '보증금+권리금'일 겁니다. 그리고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수한 내돈(자기자본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사례와 그림을 통해 확인한 것처럼 기업가치(보증금 1억원 + 권리금 1억원)은 2억원이고, 총자산에서 은행돈을 뺀 순수한 내돈(자기자본금, 순자산)이 1억원이기 때문에 PBR은 2억원에 1억원을 나눈 수치, 2배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PBR은 부채를 제외한 순수한 내돈(자기자본금, 순자산) 얼마를 가지고 기업 운영을 시작했는데 그 기업이 얼마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를 계산한 값입니다. 때문에 PBR을 '청산가치'라는 말로 부르기도 합니다. 만약 PBR이 1이라고 한다면 내가 투자한 이후 그 기업이 망했다고 해도 그 기업의 순자산을 모두 청산하면 내 투자원금을 해석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때문에 지금 언급한 사례의 경우 PBR이 2배이죠? 그렇다면 내가 투자한 이후 이 치킨집이 망한다고 해도 이 치킨집을 청산할 경우 내 투자원금의 1/2는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아까와 동일한 사례에 조금만 더 보태서 다시 한 번 설명드리겠습니다. 

 

사례) 오랫동안 눈여겨봤던 상가 건물에 치킨집을 1억 5천만원에 창업했습니다. 보증금이 1억이고 치킨집을 세팅하기 위해서는 5천만원 정도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제 수중에 가진 돈을 탈탈 털어도 1억밖에 없었습니다. 때문에 신용대출을 통해 은행으로부터 5천만원을 받아 1억 5천만원의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일단 보증금 1억 원을 건물주에게 드리고, 나머지 5천만원은 내부 시설공사(인테리어)와 치킨을 튀기기 위한 각종 집기류, 치킨의 원료가 되는 닭과 양념 등을 구입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1년 동안 열심히 장사를 하니 연매출 2억이 되었습니다. 거기서 직원들 인건비 및 각종 재료구입비 등등 이것저것 나가는 돈들을 모두 빼니 3천만원의 순이익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1년 후, 너무 힘들어 장사를 접을 생각으로 치킨집을 부동산에 내놓았습니다. 부동산에 문의해 보니 위치도 좋고 단골 고객들도 있고 해서 권리금 1억 원을 받고 팔 수 있을 것 같다고 합니다. 이렇게 될 경우 기존에 건물주에게 드린 보증금 1억 원과 권리금 1억 원을 합쳐 2억 원 정도를 받고 치킨집을 넘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정도면 만족한다.'고 생각해서 집으로 돌아가겠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부동산에서 전화가 왔습니다. "방금 속보가 나왔는데 치킨집 바로 앞에 지하철 역이 들어온다네요! 지하철 역이 들어오면 사람들이 퇴근하면서 맥주도 마시고 치킨도 먹고 싶을 거 아니에요? 그럼 장사가 훨씬 더 잘 되겠네. 그러면 권리금 2억 원 받아도 될 거 같은데요?"라고...그러면 보증금 1억 원에 권리금 2억을 합쳐 3억 원 정도를 받고 치킨집을 넘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그림으로 한 번 표현해 보겠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PBR는 기업가치(시가총액)이 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여기서 기업가치는 '보증금+권리금'일 것이고 그리고 순이익은 연매출에서 모든 비용을 뺀 나머지 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때문에 사례와 그림을 통해 확인한 것처럼 기업가치(보증금 1억원 + 권리금 2억원)은 3억원이고, 총자산에서 은행돈을 뺀 순수한 내돈(자기자본금, 순자산)이 1억원이기 때문에 PER은 3억원에 1억원을 나눈 수치, 3배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치킨집 가치'를 '순이익'으로 나눈 수치 = [기업가치(시가총액) / 순자산] = 3억원 / 1억원 = 3배

 

때문에 지금 언급한 사례의 경우 PBR이 3배이죠? 그렇다면 내가 투자한 이후 이 치킨집이 망한다고 해도 이 치킨집을 청산할 경우 내 투자원금의 1/3는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치킨집을 인수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당연히 치킨집의 가치(시가총액)가 낮은 게 좋겠죠.(리스크를 따질 때 치킨집이 망한다고 할 때 원금의 1/2를 회수하는 게 좋을까요? 원금의 1/3을 회수하는 게 좋을까요?) 때문에 치킨집을 인수하는 사람은 PBR이 낮은 게 좋겠지요. PBR이 낮다는 것은 만약 치킨집이 망한다고 해도 회수할 수 있는 내 원금이 많아진다는 것이고, 그만큼 리스크가 낮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을 매수하려는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당연히 PBR이 낮은 기업에 투자하는 게 좋을 것입니다. PBR이 낮다고 하면 그만큼 리스크가 낮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겠지요. (물론 PBR이 낮다는 것만을 보고 주식 투자를 결정하는 것은 위험한 결정입니다. 다른 요소들도 중요한 것이 많습니다.) 하지만 소위 '우량주'들의 대부분은 PBR이 낮은 편입니다. 

 

참고로 관련 내용은 클래스101 '미주부' 님의 강의와 '미주부'님의 저서에서 배운 내용들을 정리한 것이며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어려운 개념을 굉장히 쉽게 설명해 주셔서 이해가 잘 갔습니다.)

1. 클래스101 왕초보도 할 수 있는 미국주식 투자, 배당금으로 제2의 월급 만들기

2. '돈 되는 미국주식 종목 찾는 방법 - 미국주식으로 부자되기' 도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