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0명 중 4명은 잔금대출 못받아 새 아파트 입주 못해(연합뉴스)
10명 중 4명은 잔금대출 못받아 새 아파트 입주 못해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올해부터 잔금대출도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되면서 대출을 받지 못해 아파트에 입주하지 ...
www.yna.co.kr
새해 아파트 미입주 사유중 잔금대출 미확보 비율 39%
전국 입주경기실사지수 전망치·실적치 70선으로 하락
올해부터 잔금대출도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에 포함되면서 대출을 받지 못해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하는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은 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 회원사인 주택건설업체 500여곳을 대상으로 지난달 전국 아파트 미입주 사유를 조사한 결과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이 38.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17일 밝혔다.
분양받은 아파트에 입주하지 못한 10가구 가운데 4가구는 잔금대출을 받지 못해 들어가지 못하는 셈이다.
지난해 말부터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정책으로 금융권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워졌고, 올해부터는 잔금대출도 개인별 DSR 산정에 포함돼 대출 한도가 더욱 줄어들면서 대출을 받지 못해 입주하지 못하는 경우가 여전히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잔금대출 미확보 응답 비율은 처음으로 40%를 넘었던 지난해 12월(40.7%)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잔금대출 미확보 다음으로는 '기존주택 매각 지연'(33.3%), '세입자 미확보'(17.5%), '분양권 매도 지연'(3.5%) 등의 순이었다.아울러 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전국 입주경기실사지수(HOSI) 이달 전망치는 76.9, 지난달 실적치는 77.3으로 전달 대비 각각 5.7포인트, 4.0포인트 떨어졌다. HOSI는 공급자 입장에서 입주를 앞두고 있거나 입주 중인 아파트 단지의 입주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100 이상이면 입주 여건이 양호하다는 것을, 그 미만이면 좋지 않음을 의미한다.
윤종만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작년 말 대출규제 강화 정책에 따른 잔금대출 확보에 대한 우려로 실적치와 전망치 모두 하향세를 보이면서 1년여 만에 70선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2. 꿈틀대는 서울 재건축…4대천왕이 달린다(아시아경제)
꿈틀대는 서울 재건축…4대천왕이 달린다
오랫동안 속도를 내지 못한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이 꿈틀대기 시작했다. 입지나 규모 면에서 시장의 관심이 큰 압구정아파트지구, 잠실주공5단지 등의 재건축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본궤도
www.asiae.co.kr
오랫동안 속도를 내지 못한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이 꿈틀대기 시작했다. 입지나 규모 면에서 시장의 관심이 큰 압구정아파트지구, 잠실주공5단지 등의 재건축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본궤도에 오르면서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온다.17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여의도 시범, 압구정 현대, 잠실주공5단지, 대치 은마 등 서울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들이 일제히 사업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들 단지는 한강변 또는 서울 핵심 입지에 위치해 있어 ‘서울 재건축 최대어’라는 수식어가 항상 뒤따르는 아파트들이다.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다. 이 단지는 전날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수권소위원회에서 정비계획안이 통과됐다. 조합이 정비계획안을 만든 지 7년 만이다. 정비계획안은 세대수, 용적률, 층수 등 재건축 사업의 밑그림으로 이를 통과해야 재건축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다. 이번 정비계획안 통과가 의미있는 것은 층수 50층이 인정됐다는 점이다. 한강변에 위치한 잠실주공5단지는 역세권에 걸쳐져 있는 땅의 용도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상향해 최고 50층까지 짓겠다는 계획을 담았고, 시는 변경 없이 이를 통과시켰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2030 서울플랜’을 통해 한강변 아파트를 35층으로 제한한 이른바 ‘35층룰’이 깨진 것이다.한강변에 위치한 영등포구 여의도 시범,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 아파트들도 재건축에 탄력을 받고 있다. 여의도 시범은 가장 먼저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에 올라탄 단지 중 하나다. 신통기획은 서울시가 정비계획 수립단계부터 참여해 사업 추진을 지원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재건축을 추진하면 정비구역 지정부터 정비계획안 통과 기간을 절반 정도 줄일 수 있다. 사실상 서울시의 관리대상에 들어가는 셈이다. 압구정아파트지구 중에서는 4065가구로 규모가 가장 큰 압구정3구역(현대 1~7차, 10·13·14차, 대림빌라트)을 포함해 2, 5구역이 신통기획 참여를 기다리고 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역시 이 같은 흐름을 이어받아 정비계획안 심의에 재도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은마아파트는 이미 정비계획안이 입안됐지만 서울시 심의를 통과하지 못한 상태다. 2003년 재건축 조합설립 추진위원회가 설립된 이후 19년째 조합 조차 설립하지 못하고 사실상 정체돼있는 와중에 소유주 간 갈등의 골도 깊었다.이들 주요 단지가 재건축되면 공급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잠실주공5단지만 해도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현재 가구수를 제외하고 3000가구에 육박하는 규모가 잠실 알짜입지에 공급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은마아파트 역시 35층으로 재건축할 경우 5905가구, 49층으로 재건축하면 6054가구가 된다. 현재 4424가구 대비 최대 1600가구를 늘릴 수 있는 셈이다.
시장에서는 재건축이 그간 이유없이 미뤄져왔던 만큼 정상화 과정으로 보기도 하지만, 이들 대규모 재건축 단지가 동시다발적으로 속도를 내면서 집값을 자극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동시에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시장의 관심이 커 집값 상승을 부추길까봐 그동안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하기도 했다"며 "더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면 전략적으로 재건축 시기를 조정하면서 사업 속도도 높이는 고민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3. 지주택사업 쉬워지나..서울시, 토지확보 비율 완화 추진(이데일리)
[단독]지주택사업 쉬워지나…서울시, 토지확보 비율 완화 추진
앞으로 지역주택조합(지주택) 사업이 한층 수월해질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지주택사업 제도개선에 나선 가운데 토지소유권과 매도청구 대상 비율을 완화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어
www.edaily.co.kr
앞으로 지역주택조합(지주택) 사업이 한층 수월해질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지주택사업 제도개선에 나선 가운데 토지소유권과 매도청구 대상 비율을 완화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어서다.17일 국토부와 서울시,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국토부에 지주택 제도개선 사항을 건의했다. 핵심 내용은 사업계획 승인을 위한 토지소유권 확보 비율을 현행 95%에서 90%로 완화하고 매도청구 대상 비율도 기존 5%에서 10%로 늘리자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지주택사업 추진이 현재보다 수월해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작년 지역주택조합 실태조사 등을 거치면서 지주택 사업 추진시 사업계획승일을 위해서는 95%의 토지 확보가 필요하지만 사실상 확보가 어려워 사업 추진이 지연되는 곳이 많다는 민원이 잇따랐고 이에 따라 국토부에 토지소유권과 매도청구 대상 비율 완화 등 제도개선 관련 내용을 전달하고 회의도 진행했다”며 “현재 국토부에서는 관련법 개정을 위한 용역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르면 3, 4월께 관련 용역 결과가 나온다”며 “다만 토지소유권 확보율을 줄이는 것은 조합이나 사업자 입장에선 좋지만 사업을 원치 않는 주민은 쫒겨나야 하는 것이어서 종합적으로 신중하게 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지주택사업이 조합을 설립하고서도 착공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사업계획승인 절차가 까다로워서다. 지주택사업 절차를 보면 조합원 모집(토지확보율 50% 이상)→조합설립인가(토지확보율 80% 이상)→사업계획승인(토지확보율 95% 이상)→착공 순으로 이어진다. 일반정비 사업은 토지사용권원을 80%만 확보하면 사업계획 승인이 가능하지만 지주택은 95% 확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최근 5년간(2016~2021년7월) 서울에서 조합 설립을 마친 지주택조합은 19곳에 달하지만 착공한 사업지는 단 2곳에 불과하다. 실제 2016년 8월 조합에 설립한 중랑구 A사업장은 6년 째 사업계획승인을 얻지 못하고 있다.
지주택 사업장 내에서 유독 ‘알박기’가 많은 것도 높은 토지확보 기준 탓이다. 조합을 만들고도 사업계획승인을 받기 위해 추가적인 주민 동의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악의적으로 시세보다 높은 수용가격을 요구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조합설립인가를 받을 때 80%의 수용 금액보다 나머지 20%의 수용 금액이 더 크다는 우스갯 소리도 있다”며 “그만큼 조합 설립 이후 토지 소유주들을 설득하는 게 쉽지 않다는 이야기”라고 했다.
한편 서울시는 앞서 지주택 사업을 놓고 조합원들의 피해가 속출하자 관련 정보를 ‘정비사업 정보몽땅’ 홈페이지에 공개하도록 했다. 각 조합이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창구를 통해 정부가 주먹구구식으로 부실하게 공개되고 있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다. 시는 지금까지 조합들에게 정보몽땅에 사업 정보를 공개토록 권고했지만 올해는 의무적으로 공개토록 법·조례 개선을 한다는 계획이다.
4. 84㎡에 고사양 빌트인..오세훈표 공공주택 '질'로 승부 본다(머니투데이)
84㎡에 고사양 빌트인…오세훈표 공공주택 '질'로 승부 본다 - 머니투데이
주거면적 기준 17~59㎡→25~84㎡로 확대, 연령별 특화평면 도입오세훈 서울시장이 강조한 "고품질 공공주택" 밑그림이 나왔다. 최소 기준면적을 넓히고,...
news.mt.co.kr
주거면적 기준 17~59㎡→25~84㎡로 확대, 연령별 특화평면 도입
오세훈 서울시장이 강조한 '고품질 공공주택' 밑그림이 나왔다. 최소 기준면적을 넓히고, 입주자 연령대와 가구원 수를 고려한 특화 설계를 도입한다. 소형 주택 위주로 공급 물량에 치중한 기존 방식과 차별화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17일 서울시 주택정책실이 시의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앞으로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공급하는 공공주택 주거면적은 17~59㎡에서 25~84㎡로 확대되며, 계층별 특화 평면을 도입할 계획이다.
청년층이나 1인 가구에 공급하는 원룸형 공공주택은 최소 전용 25㎡ 이상으로, 신혼부부와 3인 이상 가구에 공급하는 주택은 방이 3개 이상 확보된 전용 59~84㎡ 위주로 공급한다는 의미다. 그동안 원룸형 공공주택은 전용 17~20㎡, 신혼부부와 3인 이상 가구는 전용 40~50㎡ 규모 주택 비중이 많아 "공공주택은 좁고 나쁘다"는 인식이 적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주거 기준면적을 넓히면 같은 규모 부지라도 공급 물량이 줄어들 수 있지만, 품질 개선으로 입주자 만족도가 높아져 공공주택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점차 바뀔 것"이라고 설명했다.
입주자 맞춤형 특화 평면 계획도 추진한다. 예컨대 청년과 신혼부부가 입주하는 주택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수요가 많아진 홈트레이닝과 재택근무 등에 최적화된 설계를 반영하고, 고령자 대상 주택은 발코니를 정원으로 꾸미거나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주택 내부 조명과 난방 등을 스마트폰으로 제어하는 스마트홈 시스템 도입, 인덕션 등 고사양 가전 빌트인, 어린이집과 노인정 등 노유자시설에 UV(자외선) 살균기와 공기청정 시스템을 설치하는 등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방안도 추진된다.올해 서울시는 공공주택 2만1000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건설형 5500호(분양 600호, 보유 4900호) △매입형 5500호 △임차형 1만500호 등으로 분포됐다. 건설형은 SH공사가 직접 개발한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며 매입형은 다세대, 빌라 등 비아파트 주택을 건설 사업자로부터 사들이는 방식이다. 임차형은 수요자가 임차 계약을 맺은 주택의 전세보증금 등을 저금리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최소 기준면적 확대 등으로 목표 공급량은 예년보다 감소했다. 올해 목표 공급량은 전년 실적(2만3000호) 대비 2000호 줄어든 수준이다. 오 시장은 지난달 SH공사 업무보고에서 "돈이 더 들더라도 시민들이 들어가서 살고 싶은 최고의 주택을 만들어야 한다"며 시내 공공주택 품질 개선을 주문했다.
5. 4차 사전청약 당첨자 발표…"고양창릉, 28년 부어야 당첨권"(머니투데이)
4차 사전청약 당첨자 발표‥"고양창릉, 28년 부어야 당첨권" - 머니투데이
작년 12월 진행된 4차 수도권 공공분양 사전청약은 청약통장을 13년 납입해야 당첨이 가능했던 것으로 나타났다.17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4차 사전청약의 평...
news.mt.co.kr
17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따르면 4차 사전청약의 평균 당첨선은 1561만원이었다.
공공분양의 경우 청약통장 납입 금액은 1개월에 최대 10만원까지만 인정되기 때문에, 13년 정도 청약통장을 납입해야 1561만원을 인정 받을 수 있다. 앞서 1차 사전청약 당첨선이 1945만원, 2차가 1770만원, 3차가 1871만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당첨선이 낮아진 셈이다.
고양 창릉의 당첨선은 S5블록 51㎡(전용면적 기준) 1970만원, 59㎡ 2232만5000원, 74㎡ 2400만원, 84㎡ 2470만원, S6블록 59㎡ 2205만원, 74㎡ 2400만원이다. 고양 장항은 59㎡ 1950만원, 84㎡ 1990만원, 84㎡(복층) 2360만원으로 나타났다.
남양주 왕숙은 59㎡가 1810만원, B1블록 74㎡ 1930만원, 84㎡ 1750만원, B17블록 74㎡ 2170만원, 84㎡ 2220만원이었다. 부천 대장은 A7블록 59㎡ 2030만원, A8블록 59㎡ 1770만원이었다.
안산 신길2 59㎡은 172만원으로 당첨선이 가장 낮았다. 1년 6개월만 납입해도 당첨이 가능했다는 의미다. 시흥 거모 59㎡(S1) 370만원, 안산 신길2 59㎡(복층) 400만원, 시흥 거모 59㎡(A10) 485만원 등도 비교적 당첨선이 낮았다.
지구별 청약 저축 최고 불입액은 고양 창릉 3410만원, 고양 장항 3280만원, 시흥 거모 2980만원, 부천 대장 2950만원, 남양주 왕숙 2740만원, 안산 장상 2570만원, 안산 신길2 2420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6. 코스피, 이틀 연속 상승…우크라이나 공격 소식엔 '출렁'(데일리한국)
[시황] 코스피, 이틀 연속 상승…우크라이나 공격 소식엔 '출렁'
[데일리한국 정우교 기자] 코스피가 이틀 연속 상승하며 2740선을 회복했다. 다만, 장중 우크라이나군이 친러시아 반군 통제 구역을 공격했다는 소식에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었다. 이날 코스
daily.hankooki.com
장중 2710선까지 후퇴…코스닥은 0.45% 하락
코스피가 이틀 연속 상승하며 2740선을 회복했다. 다만, 장중 우크라이나군이 친러시아 반군 통제 구역을 공격했다는 소식에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41포인트(0.53%) 상승한 2744.09에 장을 마감했다. 개인 투자자가 1조974억원 순매도했으나 기관, 외국인 투자자가 4339억원, 6487억원 순매수하며 상승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이날 오후 1시경 우크라이나군의 공격 소식이 보도되면서 코스피는 2710선까지 후퇴했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보다 3.93포인트(0.45%) 내린 874.22에 마쳤다. 기관 투자자가 303억원 사들였으나 개인, 외국인 투자자가 각각 87억원, 257억원 팔면서 하락장을 이끌었다.
김세헌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3월 FOMC에서 연준이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단행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국내 주요 증시는 상승했다"고 말했다. 또한 "장중 우크라이나 군이 포 공격을 했다는 소식에 변동성이 확대되며 코스닥은 급락하기도 했다"며 "우크라이나 선제 공격 뉴스에 대한 신빙성 논란과 러시아, 서방국가들 간에 마찰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에 재차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7. 연준, 인플레 73회 언급 등 고강도 긴축 예고…최악 예상한 시장은 '덤덤'(한국일보)
연준, 인플레 73회 언급 등 고강도 긴축 예고...최악 예상한 시장은 '덤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달부터 가파른 속도로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란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 미국 경제를 압박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에 집중 대응하기 위해 '긴축의 시대'
www.hankookilbo.com
1월 FOMC 의사록 공개
3월 금리인상 강하게 시사
빅샷 등 최악 각오한 시장은 안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내달부터 가파른 속도로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란 뜻을 강하게 내비쳤다. 미국 경제를 압박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에 집중 대응하기 위해 '긴축의 시대'를 예고한 것이다. 하지만 올해 7회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열어 두며 연준의 고강도 긴축을 일찌감치 예상했던 만큼, 금융시장은 충격을 최소화하는 모습이었다.
연준이 16일(현지시간) 공개한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고공행진하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강하고 지속적이라며 강한 우려를 드러냈다. 연준 위원들은 "최근 물가상승률 지표가 계속해서 연준의 장기 목표치(2%)를 크게 웃돌고,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연준은 미국 경제를 코너로 몰고 있는 인플레이션에 총력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공개된 의사록에서만 '인플레이션'이란 단어가 무려 73회나 등장할 정도였다. 이에 조만간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양적긴축으로 불리는 대차대조표 규모를 크게 축소하는 계획을 시사하기도 했다. 미 경제매체 배런즈는 "연준은 인플레이션이 누그러지지 않을 경우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고 분석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지난 1월 FOMC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노동시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금리를 올릴 여지가 꽤 많다"고 말했다. 이에 시장에선 연준이 올해 많게는 7회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런 최악의 상황을 이미 예상해왔기 때문인지,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 색채가 짙은 의사록에도 불구하고, 이날 금융시장은 오히려 안도감을 드러냈다. 연준이 올 3월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샷' 시나리오는 물론, 연내 7회 금리인상까지 각오했던 만큼 의사록만으로 타격은 없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의 국채금리는 단기물을 중심으로 내림세를 보였고, 뉴욕 증시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전장보다 0.09% 상승 마감하며 안도감을 내비쳤다. 다우존스(-0.16%)와 나스닥(-0.11%) 역시 낙폭을 제한했다. 국내 증시도 17일 코스피 지수가 소폭 상승했다.
8. 12월 시중 통화량 전달보다 24조↑…전체 통화량 3600조 돌파(아이뉴스)
12월 시중 통화량 전달보다 24조↑…전체 통화량 3600조 돌파
[아이뉴스24 배태호 기자] 지난해 12월 한 달간 시중에 24조원 가깝게 자금이 풀리면서 시중 통화량이 3천600조원을 넘어섰다. 2021년12월 통화 및 유동성 지표 추이 [
www.inews24.com
금리 인상에 주식 등 팔고, 예·적금 크게 증가
지난해 12월 한 달간 시중에 24조원 가깝게 자금이 풀리면서 시중 통화량이 3천600조원을 넘어섰다.
17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21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에 따르면 협의통화(M1)는 1천341조9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는 15.6% 증가했다. 또 같은 달 광의통화(M2)는 3천613조6877억 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3.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08년 11월 14.0% 증가 이후 13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M1은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을 뜻한다. M2는 M1에 MMF(Money Market Funds, 투자신탁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얻는 초단기금융상품), 2년 미만 정기예적금, 수익증권, 2년 미만 금융채와 금전신탁, 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표지어음 등 시장형상품과 CMA·2년 미만 외화예수금 등 기타 통화성 금융상품을 포함한다.
M2의 경제주체는 일반가계와 소규모 개인사업자, 가계에 봉사하는 민간 비영리단체 외에 공기업과 민간기업, 산업단체 등 기업, 보험회사 연금기금, 증권회사, 여신전문회사 등 기타 금융기관, 여기에 사회보장기구와 지방정부 등 기타부문을 모두 포함한다. M2는 이들 경제주체가 얼마나 많은 통화를 보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일반적으로 시중 통화량이라고 하면 M2를 의미한다.
금융상품별 M2 증가 현황을 보면 정기예적금(20.5조 원), 금전신탁(5.3조 원), 시장형상품(4.5조 원) 등이 증가한 반면, 수시입출식(5.7조 원), MMF(4.1조 원) 등이 감소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기업(14.6조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14.4조 원), 기타금융기관(0.9조 원) 등이 증가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이 감소세로 전환했지만 주식 등 위험자산을 팔고, 금리 상승 등으로 정기 예금과 적금 등이 크게 늘면서 통화량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통화량은 일정 시점에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 양으로 M2 대비 M1 비율이 크면 가계나 기업 등 경제주체가 당장 쓸 수 있는 현금화된 유동성 비율이 크다는 뜻이다. 반면, M1/M2 값이 작으면 반대를 뜻한다.
한편 M2에 2년 이상 장기금융상품과 증권금융 예수금을 포함한 생명보험계약 준비금 등을 더한 금융기관유동성(Lf)의 지난해 12월 평잔은 4천939조2천억 원으로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10.7% 늘었다. 또 Lf에 손보사의 장기저축성보험계약 준비금과 예금보험공사채, 여신전문기관 발행채 등 기타금융기관 상품과 국채 및 지방채, 회사채, 전자단기사채를 포함한 기업어음(CP)을 더한 광의유동성(L)의 12월 말 기준 잔액은 6천235조9천억 원으로 전달보다 0.5%, 1년 전보다 1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 현대차·기아, 1월 유럽시장 점유율 10% 넘어…전년 比 35.8% ↑(이데일리)
현대차·기아, 1월 유럽시장 점유율 10% 넘어…전년 比 35.8% ↑
현대차그룹이 석 달만에 유럽시장에서 1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달성한 연간 기준 역대 최고 점유율인 8.7%를 또다시 경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현대차·기아 (사진=현대차그룹)17일
www.edaily.co.kr
현대차·기아, 8만4789대…시장점유율 10.3%
현대차그룹이 석 달만에 유럽시장에서 1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달성한 연간 기준 역대 최고 점유율인 8.7%를 또다시 경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7일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지난 1월 현대자동차(005380)와 기아(000270)의 유럽 내 판매 대수는 8만4789대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5.8% 증가한 수치다.
회사별로 현대차는 전년동기 대비 32.3% 증가한 3만7652대를 판매했다. 기아는 4만7137대로 전년동기 대비 38.8% 증가했다. 유럽 전체 시장 규모가 반도체 공급부족으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2.4% 감소했지만 현대차그룹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도 늘렸다.
현대차그룹의 유럽시장 점유율은 10.3%로 전년동기 대비 2.9%포인트 상승했다. 현대차와 기아의 점유율은 각각 4.6%, 5.7%다. 현대차그룹의 유럽 내 친환경차 판매도 크게 늘었다. 전기차 판매는 1만3640대로 64.8% 늘었다.
10. 지난해 정부 총지출 600조원 '역대 최대'… 재정적자 30조원대 전망(매일신문)
지난해 정부 총지출 600조원 '역대 최대'… 재정적자 30조원대 전망
기재부 제공....
news.imaeil.com
현대차·기아, 8만4789대…시장점유율 10.3%
지난해 정부의 총지출이 역대 최대 규모인 600조원대로 집계됐다. 총지출이 총수입을 웃돌아 재정적자는 30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경제 회복이 이어지면서 총수입이 크게 늘었으나 코로나19 대응으로 씀씀이는 더 커진 영향이다.
17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월 재정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재정 수입은 7월의 2차 추가경정예산(514조6천억원) 대비 55조4천억원가량 증가한 570조원 수준으로 추계됐다. 이 가운데 국세 수입은 344조1천억원으로 추경 예산 대비 29조8천억원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와 부동산시장 호조 영향으로 소득세가 14조6천억원 늘었고 경기 회복이 이어지며 법인세와 부가가치세도 증가했다. 기금 수입은 2차 추경 당시보다 25조원 늘어난 196조원 수준으로 전망됐다. 세외수입은 당초 예산 대비 약 1조원 늘어난 30조원대로 추산됐다.
이어 지난해 총지출은 전년 대비 약 50조원 증가한 600조원 수준으로 추정됐다. 코로나19 방역 조치에 따른 손실보상 등 역대 최대 규모의 재정 집행으로 총지출은 처음으로 600조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0조원대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다. 다만 지난해 연간 적자는 2차 추경 당시 전망치(-90조3천억원)와 비교해 60조원가량 감소한 규모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아울러 최근 국채시장에 대해선 대내외 통화정책 전환 가속화, 국회 추경 논의에 대한 경계감 등으로 국고채 금리가 대폭 상승했다고 정부는 평가했다.
정부는 "추경에 따른 국고채 추가 발행분은 올해 남은 기간 최대한 균등 발행하고 한국은행의 국고채 추가 단순 매입도 필요할 경우 적기에 시행될 수 있도록 정책 공조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2.21)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2.21 |
---|---|
(2022.2.20)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2.20 |
(2022.2.19)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2.19 |
(2022.2.17)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2.17 |
(2022.2.16)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2.16 |
(2022.2.15)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2.15 |
(2022.2.14)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0) | 2022.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