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2024.02

(2024.02.06) 부동산, 주식, 경제 관련 뉴스기사 및 좋은 글 정리

반응형

 

1. '신생아 특례대출' 한 주 만에 2조5000억 몰려(경향신문)

 

‘신생아 특례대출’ 한 주 만에 2조5000억 몰려

출산가구에 최저 1%대 저금리로 주택자금을 빌려주는 ‘신생아 특례대출’의 접수 금액이 일주일...

www.khan.co.kr

출산가구에 최저 1%대 저금리로 주택자금을 빌려주는 ‘신생아 특례대출’의 접수 금액이 일주일 만에 2조5000억원에 육박했다. 전체 대출 신청액의 약 65%는 기존 대출을 더 낮은 금리로 갈아타기 위한 수요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신생아 특례대출을 개시한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4일까지 총 9631건(2조4765억원)이 접수됐다고 6일 밝혔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주택구입·전세 자금을 저리로 대출해주는 제도다. 주택가액 9억원 이하, 가구원 전원 무주택 등 기준을 충족하면 주택구입자금(디딤돌 대출)은 연 1.6~3.3%, 전세자금(버팀목 대출)은 1.1~3.0% 금리로 최대 5년간 대출받을 수 있다. 대출 신청일 기준으로 2년 내에 출산·입양한 가구가 대상이지만, 올해는 지난해 1월1일 이후 출산·입양한 가구만 신청이 가능하다.

신생아 특례대출 수요 대부분은 주택구입 대출에 쏠렸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신청 금액이 3820억원(2043건)에 그친 반면 디딤돌 구입자금 대출 금액은 2조945억원(7588건)으로 버팀목 대출보다 6배가량 많았다.

특히 출산가구의 다수는 금리 부담으로 기존 대출에서 저금리의 특례대출로 전환하기 위해 대출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딤돌 대출 중 대환 금액은 1조6061억원(6069건)에 달했지만 신규 주택구입 금액은 4884억원(1519건)으로 대환의 약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2. 전국 오피스텔 월세 7개월 연속 상승…월세거래 비중도↑(아주경제)

 

전국 오피스텔 월세 7개월 연속 상승...월세거래 비중도↑ | 아주경제

전국 오피스텔 월세 가격지수가 지난해 6월부터 7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6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작년 6월(102.76) 이후 매달 상승하며 작년 12

www.ajunews.com

전국 오피스텔 월세 가격지수가 지난해 6월부터 7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작년 6월(102.76) 이후 매달 상승하며 작년 12월 103.07을 기록했다 2022년 12월부터 지난해 5월까지 6개월간 이어진 하락세를 마감한 이후 7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온 것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작년 6월(0.07%↑)부터 12월(0.06%↑)까지 7개월 연속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반면 지방은 지난해 7, 11, 12월 등 3개월을 제외하고는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오피스텔 전월세전환율(전세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이율)은 지난해 1월 5.56%에서 같은 해 12월 5.97%로 0.41%포인트(p) 높아졌다. 같은 기간 수도권(5.51%→5.93%)은 0.42%p, 지방(6.13%→6.42%)은 0.29%p 오르며 권역별로 온도차를 보였다.

오피스텔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 자료에 따르면 작년 서울의 오피스텔 전월세 거래 6만6720건 중 월세 거래는 4만938건으로 61.4%에 달했다. 2021년 51.5%, 2022년 55.8%를 각각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2년 만에 약 10%p 높아진 것이다. 건수로 따지면 약 8000건이 늘었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침체에도 비교적 수요가 꾸준한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피스텔 월세가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며 "최근 전세사기, 금리 상승 등의 요인으로 월세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월세 비중도 늘었다"고 말했다.

 

3. 박상우 국토장관 "집값 상당기간 하향 안정화 흐름 보일 것"(쿠키뉴스)

 

박상우 국토장관 “집값 상당기간 하향 안정화 흐름 보일 것”

국토교통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5일 “집값이 상당 기간 하향 안정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세종청사

www.kukinews.com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5일 “집값이 상당 기간 하향 안정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토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집값이 가장 높았던 2022년 하반기와 비교해 85~90% 사이에 왔기 때문에 결코 과도하게 떨어진 게 아니다”라며 “자연스러운 등락의 사이클상에 있다”고 시장을 진단했다.

그는 “전망하기는 조심스럽지만 집값이 상당 기간 하향 안정 추세로 가서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상황으로는 안 갈 것이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집값 방향은 상당 기간 안정기로 가 민간 연구기관들이 발표한 수치 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2% 떨어질 걸로 예상했다. 하락폭은 수도권(-1%)보다 지방(-3%)이 더 클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5% 하락을 전망했다.

박 장관은 ‘1·10 부동산 대책’에 관해 “과도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 정상화한 것이지 경기 부양을 위한 앰풀 주사를 놓는다는 취지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상황은 고금리, 경제성장률 등 펀더멘털로 집값이 하향한 것이기에 불필요한 규제 장치들을 걷어 내도 시장 반응이 없는 게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또 “정부가 적극 개입해 시장을 부추기거나 과도하게 규제하는 건 가급적 하지 않으려고 한다”며 “자본주의 경제는 재고조정 과정에서 불경기, 호경기가 항상 있는 것이고 그 과정의 진폭을 줄이는 게 정부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정부가 발표한 규제 완화, 규제 정상화 조치를 차질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실행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4. 코스피, 이틀 연속 하락 마감…2570선 후퇴(머니S)

 

코스피, 이틀 연속 하락 마감… 2570선 후퇴 - 머니S

지난주 급등했던 코스피 지수가 미국 증시 하락과 기관의 매도세에 이틀 연속 하락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11포인트(0.58%) 내린 2576.20으로 마감했다.

www.moneys.co.kr

지난주 급등했던 코스피 지수가 미국 증시 하락과 기관의 매도세에 이틀 연속 하락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11포인트(0.58%) 내린 2576.20으로 마감했다. 장 초반 2563.87까지 밀렸으나 외국인이 순매수하면서 낙폭을 소폭 줄였다.

코스피 시장에서 기관과 개인은 각각 2334억원, 1253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홀로 3382억원을 사들였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 10개 중 기아는 5% 넘게 내렸고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각각 3%대 약세를 보였다. 현대차, POSCO홀딩스, 네이버, 삼성물산, 카카오 역시 1~2%가량 빠졌다. 반면 삼성전자(0.13%)와 SK하이닉스(4.31%) 상승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관이 2거래일 연속 순매도하는 가운데 증시가 하락했다"며, 다만 "외국인 수급 유입이 지속되면서 증시 하단은 지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기 급등 후 숨 고르기 장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코스닥지수는 전일 대비 0.96포인트(0.12%) 떨어진 807.03으로 장을 마쳤다. 장중 한때 795.37까지 하락했던 코스닥 지수는 오후 들어 낙폭을 줄였다.

코스닥 시장에선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260억원, 296억원을 팔아치우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반면 개인은 홀로 1925억원을 사들였다.

코스닥 시총 상위종목에서는 에코프로비엠(-3.79%) 에코프로(-5.74%) 레인보우로보틱스(-2.58%) 신성델타테크(-1.66%) 등은 하락했다. 반면 HLB(4.37%) 알테오젠(1.84%) 셀트리온제약(0.49%) HPSP(0.11%) 엔켐(9.40%) 리노공업(2.54%) 등은 올랐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3.2원 하락한 1327.6원으로 마감했다.

 

5. 車 업계, 전기차 보조금 개편, LFP에 희비 엇갈려(이투데이)

 

車 업계, 전기차 보조금 개편, LFP에 희비 엇갈려

환경부, 배터리 재활용성 따져 보조금 차등 지급현대차·기아·수입차 업계는 “영향 제한적일 것”가성비 강조하는 KGM “전기차 시장 침체 우려”▲전기차

www.etoday.co.kr

환경부, 배터리 재활용성 따져 보조금 차등 지급
현대차·기아·수입차 업계는 “영향 제한적일 것”
가성비 강조하는 KGM “전기차 시장 침체 우려”


정부가 배터리 재활용성을 평가해 보조금을 차등 지원하는 방향의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을 발표했다. 사실상 LFP 배터리를 겨냥한 개편안이 나오자 국내 자동차 업계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환경부는 6일 올해 전기차 보조금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배터리의 재활용성을 평가해 보조금을 차등 지급하는 내용이다.

이번 개편안에 따라 전기차 구매 보조금에는 ‘배터리환경성계수’가 도입된다. 이는 배터리가 폐배터리가 됐을 때 재활용 가치를 평가해 보조금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환경성계수는 배터리 1킬로그램(kg)에 든 유가금속 가격을 ‘폐배터리 처리비’ 2800원으로 나눈 값이 0.9를 넘어서면 계수가 1로 산정된다. 이 경우 성능보조금(배터리안전보조금포함)이 감액되지 않는다. 반면 유가금속 가격을 폐배터리 처리비로 나눈 값이 0.8~0.9인 경우 성능보조금이 10% 줄어든다. 감액되는 폭은 배터리환경성계수에 따라 최대 40%다.

이는 CATL, BYD 등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주력 제품인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최근까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주력해온 삼원계 배터리의 경우 LFP 배터리보다 재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SNE 리서치에 따르면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의 킬로와트시(KWh)당 금속 가치는 68달러이고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는 71달러다. LFP 배터리의 경우 이 수치가 45달러에 그친다. 이번 개편안이 사실상 LFP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덜 지급하겠다는 의도를 담았다는 점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처럼 LFP 배터리를 견제하는 보조금 개편안이 나오자 자동차 업계의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LFP 배터리를 주력으로 사용하지 않는 기업의 경우 큰 타격이 없는 반면 반대의 경우 판매량에 악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완성차 업계를 주도하는 현대차·기아는 이번 개편안에 대한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주력 전기차 라인업인 아이오닉 5·6, EV6·9 등이 모두 NCM 배터리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레이EV 등 일부 경형·소형차에는 LFP 배터리가 탑재돼 있지만 양사가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춘 덕에 실질적 악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수입차 업계도 비슷한 입장이다. 기본적으로 수입차 브랜드의 주요 전기차 가격이 보조금 상한선인 8500만 원을 넘겨 형성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조금 개편이 판매와 큰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해 보조금 지급 기준인 5700만 원 이하의 전기차를 판매하고 있는 테슬라 등 일부 브랜드 차종의 경우 일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수입차 업계 관계자는 “수입차 브랜드의 전기차는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가격대에 들어오는 차량이 많지 않아 큰 영향이 없을 전망”이라며 “보조금을 지급 받는 일부 차종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LFP 배터리를 탑재한 자동차 업체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BYD의 LFP 배터리를 탑재한 ‘토레스 EVX’를 판매하는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대표적이다. 토레스 EVX는 KGM이 생산·판매 중인 유일한 전기차이며 ‘가성비’를 무기로 내세우고 있어 구매 가격이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KGM 관계자는 “(개편안에 대해) 우려되는 점이 있다”며 “전기차 시장이 침체된 시점에서 LFP 배터리에 대한 보조금을 줄이면 전기차 판매량이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