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8억 로또' 과천 줍줍…서울·다주택자 청약 못한다(파이낸셜뉴스)
'8억 로또' 과천 줍줍...서울·다주택자 청약 못한다
[파이낸셜뉴스] 당첨만 받으면 8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는 경기도 과천시 지식정보타운 ‘무순위 청약(줍줍)’ 물량이 ‘5가구+α’ 수준에서 그칠 것으로 보인다. 또 무순위 청약 기
www.fnnews.com
당첨만 받으면 8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는 경기도 과천시 지식정보타운 ‘무순위 청약(줍줍)’ 물량이 ‘5가구+α’ 수준에서 그칠 것으로 보인다. 또 무순위 청약 기준이 완화됐지만 과천시 거주 무주택자만 청약할 수 있는 등 줍줍 기준이 다르다.
6일 건설업계와 과천시에 따르면 지식정보타운 4개 단지에서 무순위 청약물량이 나온다. 세부적으로 '과천르센토 데시앙' '과천푸르지오 오르투스' 과천푸르지오 라비엔오' 등 민간분양 3개 단지와 공공분양 ‘과천제이드자이’ 1개 단지 등 4곳이다.
현재 확정된 물량은 '과천르센토 데시앙' 1가구, '과천푸르지오 오르투스' 3가구, '과천푸르지오 라비엔오' 1가구 등 민간분양 5가구다. 평형은 전용 74·84㎡다. 공공분양인 '과천제이드 자이’는 미정이나 극소수에 그칠 전망이다. 분양시기는 이달 말께로 예상되고 있다.
바뀐 줍줍 청약 제도를 보면 무순위 물량이 위장전입·재당첨 위반 등 부정청약으로 계약 취소된 물량이냐, 아니면 단순 부적격 청약이냐에 따라 달라진다.
부정청약으로 계약 취소된 줍줍 물량은 거주요건과 무주택 요건 등이 그대로 적용된다. 둔촌주공의 경우 줍줍 물량이 단순 부적격 청약이어서 전국의 유주택자도 청약이 가능하다.
과천시 등에 따르면 이번 무순위 청약의 경우 잔여 물량이 주택공급 질서 위반에 따른 부정청약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세부 내용을 좀 더 살펴봐야 하지만 주택공급질서를 어겨 무순위 물량으로 나온 것으로 보인다”며 “이럴 경우 과천시에 거주하는 무주택 세대주만 줍줍에 청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동시 분양도 고려 중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무순위 청약 동시분양의 경우 당첨자 발표일이 같아도 중복 청약이 가능하다.
분양가는 3년 전 분양 당시 가격으로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용 84㎡ 기준 분양가는 △과천르센토 데시앙 7억3450만~7억9390만원 △과천푸르지오 오르투스 7억6610만~8억2180만원 △과천푸르지오 라비엔오 7억3310만~7억9240만원이었다.
인근 아파트 시세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과천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 전용 84㎡는 지난달 16억원(10층)에 실거래 됐다. '과천위버필드' 전용 84㎡도 지난 1월 16억(8층)에 손바뀜 했다.
2. 서울은 반등 기대감 vs 수도권 외곽은 마피…분양가 대비 50% 매물까지 등장(브릿지경제)
서울은 반등 기대감 vs 수도권 외곽은 마피… 분양가 대비 50% 매물까지 등장
정부의 1·3 대책 이후 급매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회복되면서 집값 하락폭이 줄고 있다. 특히 서울은 지역 시세를 견인하는 이른바 ‘대장 아파트’를 중심으로 반등 거래가 속출하면서..
www.viva100.com
정부의 1·3 대책(아래 링크 참고) 이후 급매를 중심으로 거래량이 회복되면서 집값 하락폭이 줄고 있다. 특히 서울은 지역 시세를 견인하는 이른바 ‘대장 아파트’를 중심으로 반등 거래가 속출하면서 집값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외곽 지역은 여전히 ‘마이너스피’(분양가보다 싸게 처분하는 거래)가 붙어 있는 상황이다. 규제지역 해제로 전매제한이 대거 풀리면서 분양권도 하락한 시세를 반영하고 있는 모양새다.
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5월 입주 예정인 화성 봉담지구 ‘봉담 파라곤’ 전용면적 59㎡ 분양권은 지난해 12월 6일 2억2807만원에 손바뀜했다. 이날 현재 네이버 부동산에 올라와 있는 최저가 매물은 2억1000만원이다. 분양가(4억400만~4억4910만원)와 비교하면 2억원 넘게 하락하며 반토막이난 상황이다. 전매제한을 사실상 1년으로 줄이고 분양가 주택 실거주의무를 폐지한 1·3대책 시행 이후에도 실수요는 물론이고 투자수요도 붙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이달 분양권이 거래된 화성시 ‘화성시청역 서희스타힐스 4차 숲속마을’ 전용 84㎡도 2억9544만원에 팔려 분양가(3억3747만원)보다 약 4000만원 가격이 떨어졌다. 발코니 확장비가 1250만~1560만원인 점을 고려하면 5000만원이 훨씬 넘는 손실을 감내하고 급처분한 셈이다.
포천시 ‘포천 모아엘가 리더스파크’ 전용 75㎡는 분양가보다 700만원(2억5700만원→2억5000만원), 양주시 ‘양주옥정유림노르웨이숲’ 전용 84㎡는 380만원(3억7190만원→3억6810만원), 양평군 ‘포레나 양평’ 전용 74㎡는 436만원(3억4620만원→3억4184만원)씩 소폭 하락했다.
이 밖에도 분양권이 거래된 단지 대부분이 분양가를 밑돌지는 않았다고는 해도 발코니 확장 등 유상옵션 비용을 추가하면 사실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진형 경인여대 MD비즈니스학과 교수는 “부동산 시장 상황이 좋을 때 전매제한이 해제됐다면 투자 수요가 유입됐겠지만 현재 경기권 외곽 지역 집값은 앞으로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보니 규제 완화로 분양권이 시장에 나와도 자연스레 하락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서 교수는 이어 “분양권 매매는 거액을 한 번에 대출 받아야 하는 만큼 금리의 영향도 많이 받는다”면서 “서울과 수도권 외곽 지역의 양극화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거래량이 단기간에 대폭적으로 늘거나 가격이 상승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2023년 국토교통부 핵심 추진과제(Feat. 1.3 부동산 대책)
betherich.tistory.com